IUCN Red list, Green list 관련 기출문제 답안지가 본문 하단에 있습니다.

[자연환경관리기술사 89회] 국제자연보호연맹(IUCN)에서 규정하고 있는 멸종위기에 처한 야생동식물의 분류등급을 제시하고 이를 설명하시오.
[자연환경관리기술사 118회] IUCN 적색목록 범주 구조
[자연환경관리기술사 106회] IUCN Red list와 Green list의 비교
IUCN Red list
IUCN Red List of Threatened Species
적색목록
국립생물자원관 한반도의 생물다양성 (nibr.go.kr)
국립생물자원관 한반도의 생물다양성
1-1 나비목 연구 현황 나비목[Lepidoptera: lepidos(=scale)와 pteros(=wing)에서 유래]은 나비류(Rhopalocera)와 나방류(Heterocera)를 포함합니다. 현재까지 전세계적으로 알려진 종(種)수는 약 200,000종으로 총 동
species.nibr.go.kr
국가생물적색자료집
국립생물자원관 한반도의 생물다양성 (nibr.go.kr)
국립생물자원관 한반도의 생물다양성
species.nibr.go.kr
Ⅰ. 개 요
1. IUCN(세계자연보전연맹)이란 세계 자원과 자연보호 위한 국제기구
2. IUCN Red list(적색목록)이란 세계/지역 절멸가능성 있는 야생생물종 목록으로
세계적색목록은 9가지 범주, 지역적색목록은 11가지 범주
3. IUCN Green list(녹색목록)이란 우수보호지역 목록
4. IUCN Red list와 Green list는 범지구적 자연보전 위한 제도
Ⅱ. IUCN 규정 멸종위기 야생동식물 분류등급 / IUCN 적색목록 범주 구조
1. 세계적색목록
1) 절멸(EX): 마지막 개체까지 죽었음.
2) 야생절멸(EW): 야생절멸 상태
3) 위급(CR): 극단적 절멸 위기
4) 위기(EN): 매우 높은 절멸 위기
5) 취약(VU): 높은 절멸 위기
6) 준위협(NT): 가까운 장래 멸종 위기
7) 관심대상(LC): 널리 퍼져 있고 개체수 많음.
8) 정보부족(DD): 평가 정보 부족 분류군
9) 미평가(NE): 평가 못한 분류군
2. 지역적색목록
10) 지역절멸(RE): 지역 내 절멸
11) 미적용(NE): 지역 수준 평가 부적절 분류군
3. 멸종 위협(threatened) 범주: 위급(CR), 위기(EN), 취약(VU)

4. 적색목록 평가 위한 필요 정보
1) 전체 개체수(total number of individuals)
2) 점유 영역(AOO, Area Of Occupancy) 및 분포 범위(EOO, Extent Of Occurrence)의 감소 추세
3) 아집단의 개수(number of locations and subpopulation)
5. 위협 범주 판정을 위한 5가지 평가 기준
구분 | 평가 기준 |
A | 집단의 과거와 미래 감소율 |
B | 지리적 분포 영역과 단절, 감소 혹은 기복 변화 |
C | 작은 집단의 크기와 단절 혹은 기복 변화 |
D | 매우 작은 집단의 크기와 단절, 감소 혹은 기복 변화 |
E | 정량적 멸종위기 분석 |
Ⅲ. IUCN Red list와 Green list 비교
구분 | Red list(적색목록) | Green list(녹색목록) |
개념 | ․ 멸종위기종 목록 | ․ 우수보호지역 목록 |
목적 | ․ 야생생물 멸종 방지 및 생물다양성 보전 | ․ 우수보호지역 인증으로 효과적․지속적 관리개선 도모 |
평가범주 (분류등급) |
․ 세계적색목록 9가지 - 절멸, 야생절멸, 위급, 위기, 취약, 준위협, 관심대상, 정보부족, 미평가 ․ 지역적색목록 11가지 - 지역절멸, 미적용 추가 |
- |
평가기준 | ․ 멸종위험도 - 위기 속도, 개체 크기 - 지질학 분포지역 - 개체와 분포 정도 |
․ 자원보호 ․ 탐방서비스 ․ 사회․경제적 기여도 |
국내현황 | ․ 환경부 ‘국가생물적색자료집’ ․ 산림청 ‘한국 관속식물 적색목록 한국의 희귀식물’ |
․ 3개 국립공원 등재 - 지리산, 설악산, 오대산 |
* 국내 보호지역 확대를 위한 성과지표로서 IUCN Green list(녹색목록) 인증 개소 수를 3개소('23. 11)에서 15개소('30) 확대할 계획임.
* IUCN Red list(적색목록)은 각국 생물종 현황을 전부 파악하기 어렵기에 각국의 지역적색목록 관리 중요함.


'국제 동향, 환경문제, 환경정책'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세계유산, 세계자연유산 지정사례 (0) | 2024.04.14 |
---|---|
UNESCO MAB, 생물권보전지역, 3대 기능, 3가지 구획, 허용행위, 지정 현황 (0) | 2024.04.13 |
IUCN 보호지역 카테고리/분류체계/범주 (0) | 2024.04.12 |
자연환경 관련 보호지역 종류, 국내 보호지역 현황, 지정요건/지정기준 (0) | 2024.04.11 |
지속가능성, 3대 요소 3E, 지속가능발전, 지속가능발전목표 (0) | 2024.04.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