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환경기준2

환경기준, 배출허용기준, 협의기준 그리고 환경보전목표 환경기준, 배출허용기준, 협의기준그리고 환경보전목표 설정기준 및 고려사항에 대해 정리하였습니다. [자연환경관리기술사 103회] 환경기준, 배출허용기준, 협의기준[환경영향평가사 1회] 환경기준, 배출허용기준(방류수수질기준 포함), 환경영향평가 협의기준의 개념 및 연계성[환경영향평가사 8회] 환경영향평가법 제2조와 제5조에 따른 '협의기준' 및 '환경보전목표'와 관련된 환경 관련 기준을 제시하고, 이들 환경 관련 기준을 환경영향평가법에 규정하여 운영함으로 인한 장·단점과 개선방안을 논하시오. [환경영향평가사 13회] 환경영향평가법에서 정한 협의기준을 설명하시오.[환경영향평가사 21회] 환경기준, 배출허용기준, 환경영향평가 협의기준의 개념[환경영향평가사 2회] 환경영향평가등을 실시하기 위한 환경보전목표 설정시.. 2024. 6. 11.
환경기준 환경기준의 개념, 기능, 종류/유형에 대해 정리하였습니다.      1. 개념          1) 건강 보호, 쾌적한 환경 조성 위한 바람직한 환경상의 조건, 질적인 수준          2) 환경보전 목표 달성을 위한 기준             3) 환경오염 정도 구분, 인간 규정 기준치「환경정책기본법」 제3조(정의)1. "환경"이란 자연환경과 생활환경을 말한다.2. "자연환경"이란 지하ㆍ지표(해양을 포함한다) 및 지상의 모든 생물과 이들을 둘러싸고 있는 비생물적인 것을 포함한 자연의 상태(생태계 및 자연경관을 포함한다)를 말한다.3. “생활환경”이란 대기, 물, 토양, 폐기물, 소음ㆍ진동, 악취, 일조(日照), 인공조명, 화학물질 등 사람의 일상생활과 관계되는 환경을 말한다.4. “환경오염”이란 사.. 2024. 5. 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