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습지16

평두메습지, 26번째 람사르습지(24. 05. 13) 무등산 평두메습지, 우리나라 26번째 람사르습지로 등록, 양서류 집단 서식지로서 산란·번식 과정에서 중요한 서식처 역할 수행 Ⅰ. 평두메습지 개요     1. 현황          1) 위치: 광주광역시 북구 화암동 530 일원(무등산 국립공원 내)          2) 면적: 0.023㎢(2.3ha)     2. 생태적 가치         : 묵논습지로 양서류 집단 서식지, 멸종위기야생생물 4종 서식           * 산지 계곡부에 발달한 충적지를 논으로 이용하던 지역이 방치됨에 따라 자연적인 천이가             이루어지고 있는 습지           * 개체수 또는 서식처 감소로 적극적 보호가 필요한 취약종, 위기종에 해당하는             멸종위기 야생생물 서식          .. 2024. 5. 18.
갯벌의 개념, 기능 및 가치 갯벌의 개념, 구분, 중요성에 대해 정리하였습니다. "[조경기술사 114회] 갯벌의 기능 및 가치" 답안지가 본문 하단에 있습니다. [자연환경관리기술사 79회] 우리나라 갯벌 생태계의 특성과 중요성 및 갯벌매립이 생태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실례를 들어 설명[자연환경관리기술사 125회] 유네스코 세계자연유산에 등재된 ‘한국의 갯벌(Getbol, Korean Tidal Flats)’의 생태적 특징과 보전ㆍ관리방안을 설명하시오.[자연환경관리기술사 121회] 갯벌, 해안사구의 생육환경 특징을 각각 설명하고 환경경사(Environmental Gradient)를 고려하여 식물종 분포도를 작성하시오.[조경기술사 114회] 갯벌의 기능 및 가치참고자료: 습지생태학, 구본학  Ⅰ. 갯벌1. 갯벌의 개념     1) 갯.. 2024. 4. 28.
해안사구, 신두리 해안사구, 두웅습지 해안사구의 개념, 가치, 기능/역할, 형성 과정, 유형/구조, 사구습지, 신두리 해안사구, 두웅습지에 대해 정리하였습니다.[자연환경관리기술사 121회] 신두시사구와 두웅습지의 생태적 특징을 설명하시오.[자연환경관리기술사 77회] 해안사구의 중요성을 약술하고 사구식생의 효과적인 복원방법에 대한 설명[자연환경관리기술사 92회] 해안사구의 성립배경, 신두리사구 등에 나타나는 주요 사구 식생과 도입 가능한 식물에 대하여 설명하시오.[자연환경관리기술사 98회] 최근 해안 국립공원 내 유류오염사고로 인한 해안사구가 훼손되고 있어, 이에 대한 복원기본계획, 적용가능한 복원공법 및 사후관리계획에 대하여 설명하시오.[자연환경관리기술사 100회] 해안사구의 정의, 형성메카니즘, 가치와 훼손 시 복원방안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2024. 4. 27.
system 수준의 습지 유형, 해안습지, 내륙습지 system 수준에서 해안습지는 연안형, 하구형으로, 내륙습지는 하천형, 호수형, 소택형 등으로 구분한다. 1. 해안습지(Marine and Coastal)     1) 기권, 육권, 수권이 접하는 지역으로서 밀물 때 잠기고 썰물 때 드러나는 간석지 및         이와 공간적으로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는 얕은 바다를 포함하는 지역     2) 연안형(marine system), 하구형(estuarine system)연안형1) 갯벌2) 자갈, 암석, 기타 해안습지3) 해안사구- 염습지 포함, 조하대 및 조간대로 구분* 염습지: 주기적인 해수의 영향으로 식생 형성되는 곳,                강 또는 바다로부터 유기물 침전되어 이루어진                해변과 하구에 발달          .. 2024. 4. 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