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타감작용(Allelopathy) 개념, 의의, 사례, 활용/이용에 대해 정리하였습니다.
[자연환경관리기술사 80회] 개체군들의 상호관계 중 상극(Alleopathy) 관계를 한국의 식물을 예로 들어 설명
[자연환경관리기술사 103회] 타감작용(Allelopathy)
[자연환경관리기술사 115회] 식물의 타감작용(Allelopathy) 원인과 그 결과로 방출하는 타감물질을 설명하시오.
[자연환경관리기술사 121회] 상극작용(Allelopathy)
[자연환경관리기술사 133회] 타감작용(Allelopathy)
[조경기술사 102회] 타감작용(Allelopathy) 의의 및 주요 타감작용 수목(2가지)
참고 자료: 현대생태학(개정판), 2007, 김준호 등
생태복원 계획·설계론, 2017, 조동길
1. 타감작용(Allelopathy) 개념
1) 타감작용이란 식물이 자체적으로 만든 생화학물질(타감물질) 분비하여 주변 다른 생물종에
해를 끼치는 편해작용
2) 간섭경쟁, 화학물질 분비하여 다른 개체를 접근 억제하고 생활공간을 차지하는 작용
3) Chemical communication, 자신의 생존 확보 및 생장 촉진 작용
2. 타감작용 의의
1) 식물의 방어, 보호
- phytochemical, phytoncide(피톤치드) = phyton(식물) + cide(죽이다)
- 미생물 생장 억제 → 종자 부패 방지, 병원균 침투 억제
- 포식 방해 물질 → 마늘(알리신), 고추(캅사이신), 독성물질
2) 경쟁/대립식물 고사, 공격
타감작용 사례 | 타감물질 | 내용 |
소나무 | 타닌 (tannin) |
- 참나무와 햇빛 경쟁 - 다른 식물의 종자 발아 억제 - 소나무 + 진달래/싸리나무류/억새/삽주 서식 가능 |
단풍나무 | 안토시아닌 (anthocyanin) |
- 낙엽 → 다른 식물의 성장 억제 - 씨앗 → 다른 식물의 발아 억제 |
3. 타감작용 활용/이용
1) 타감작용 고려한 식재
- 수종 선정, 배식
2) 잡초 관리
- 친환경 제초제(가시박 타감물질 활용 → 주변 식물 성장 억제, 고사)
3) 산림욕, 약제
- 피톤치드(phytoncide) → 사람의 신진대사에 이로운 영향
* 생태복원 계획·설계론 p.71~72
한 식물이 화학물질을 주변 환경에 방출하여 자신은 아무 영향을 받지 않은 채 다른 식물에 해를 끼치는 편해작용(amensalism)을 타감작용(allelopathy)이라 한다. 이는 오스트리아의 식물학자인 Molish(1937)가 제창한 것으로 대표적인 예는 소나무에서 많이 배출되는 타감물질(allelochemicals)에 의해서 삽주나 억새, 진달래 등은 서식할 수 있는 반면에 명아주, 강아지풀, 비름 등은 그 종자의 발아는 물론이고 생장에도 피해를 받는다. 이러한 타감작용을 일으키는 대부분의 물질은 테르페노이드 또는 페놀 화합물이지만 다른 여러 가지 물질들이 관여하기도 하며, 이러한 물질들은 살균 및 항균 작용을 갖고 있어 피톤치드(phytoncide)라고도 한다. 피톤치드는 어원적으로 보면, phyton(식물) + cide(죽이다)의 합성어로 '식물을 죽이는 물질'이라고 할 수 있다.
피톤치드는 나무에서 나오는 물질들에 의해 사람의 신진대사에 이로운 영향을 줌으로써 우리는 삼림욕에서 많이 활용하고 있으며, 중요한 약으로도 사용하고 있다. 타감작용은 농작물의 병충해 제거를 위한 제초제로의 활용이나, 동반 식물의 식재 등을 통한 잡초의 번성을 억제하는 등의 친환경 농법에도 활용될 수 있다. 한편, Whittaker와 Feeny(1971)는 생물 간에 영향을 미치는 화합물의 효과를 두 가지로 구분하였는데, 화합물이 다른 종에 영향을 미칠 때 이를 타감작용이라 하였고, 같은 종 사이에 영향을 주는 물질을 페로몬(pheromone)이라 하였다.
* 현대생태학 p. 90
종내경쟁(intraspecific competition)은 같은 자원에 대하여 같은 종의 개체 사이에 벌어지는 경쟁을 말하는데, 자원을 선점해서 다른 개체가 이용할 자원을 빼앗는 착취경쟁(exploitation competition)과 다른 개체의 행동을 직·간접적으로 방해하는 간섭경쟁(interference competition)으로 나뉜다. 착취의 예를 들면, 어린 나무를 빽빽하게 심었을 때 처음에는 필요한 빛과 물의 요구가 적어 모두 자랄 수 있지만, 점차 개체 사이에 빛이나 물과 같은 자원을 서로 빼앗음으로써 밀도가 감소한다. 같은 연령의 식물개체군에서는 자원의 착취 때문에 자기솎음질(self-thinning)이 일어난다. 간섭의 예로는 동물 개체가 일정한 생물공간을 행동으로 지키는 세력권제(territoriality)와, 미생물이나 식물이 화학물질을 분비하여 다른 개체를 접근하지 못하게 하여 생활공간을 차지하는 항생작용(antibiosis)이나 타감작용(allelopathy)을 들 수 있다.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