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참고 자료: 경관생태학(환경계획과 설계, 관리를 위한 공간생리), 이도원
제1장 경관생태학의 특성과 기본개념
시작하며
경관과 관련된 조직수준과 공간규모
경관생태학의 역사와 특성
구조적 측면
기능적 측면
변화와 구조 - 기능의 상호작용
경관생태학과 환경관리
마치며
상자글 1 구조와 기능
상자글 2 바탕-조각-통로의 용어와 모형
상자글 3 생태적 교란
제2장 토지이용과 환경변화
시작하며
경관형성과 환경의 질
토지이용과 물리적·생물적 환경의 변화
마치며
상자글 1 생태계와 경관, 가이아 그리고 온생명
상자글 2 바람과 물
제3장 바탕과 경관형성 위계
시작하며
경관바탕의 구조
경관바탕의 특성변수
수직요소를 고려한 표면특성
경관바탕의 역동성
경관바탕 변화와 생태계 과정
경관의 위계적 특성
마치며
상자글 1 모자이크 - 경관
상자글 2 정보유형과 새로운 교란
상자글 3 위계의 형성과정과 동인
제4장 경관조각모양
시작하며
경관조각의 의미와 기본특성
조각의 종류와 역동성
조각모양의 종류
조각모양의 생성기작
조각모양과 생태적 과정
모양특성의 측정과 이용
조각의 역동성
마치며
상자글 1 프랙털과 경관연구
상자글 2 평면적인 사고를 넘어서
제5장 경관조각의 크기와 수
시작하며
조각의 크기와 수 문제
조각크기와 생물 다양성
경관조각에서 종
최소존속개체군 크기와 면적
생물보전지구의 크기와 수
조각의 크기와 생태계 과정
큰 조각과 작은 조각의 다른 측면
마치며
상자글 1 큰 조각과 작은 조각의 생태적 가치
상자글 2 섬생물지리이론이 경관계획에 이용되지 않는 까닭
상자글 3 자연보전지구 설계지침
제6장 통로
시작하며
통로 내부와 외부구조
통로의 주요 기능
통로너비와 연결성
통로의 변화
하천통로의 연속성
하천통로 형성의 위계
마치며
상자글 1 야생동물통로에 대한 찬성과 반대
상자글 2 준천사의 하천통로관리
제7장 경계와 가장자리
시작하며
경계와 관련된 개념 및 종류
경계와 가장자리의 구조
구조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경계와 가장자리의 기능
구조와 기능의 관계
경계의 역동성
마치며
상자글 1 경계의 특성
상자글 2 가장자리 관리지침
제8장 연결망
시작하며
연결망의 기본유형과 형성
구조적 특성
기능적 특성
격자형과 파도형 연결망
나뭇가지형 연결망
연결망과 생물개체군 유지
활용사례와 전망
마치며
상자글 1 메타개체군과 개체군, 지역개체군 그리고 아개체군 개념의 비교
상자글 2 기업연결망 이론과 협의체계로서의 사회구조
제9장 경관 모자이크와 흐름
시작하며
내용물과 맥락의 중요성
경관에서 묶음과 짜임
묶음과 짜임 속의 흐름과 안정성
경관의 수직요소 재고
표면거칠기 재고
서식처 배열과 생물 다양성 보전의 전략지점
모자이크 특징의 정량
마치며
상자글 1 연어에 의한 물과 땅의 연결
상자글 2 새로운 방향으로
참고문헌
찾아보기
728x90
'경관생태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경관의 이질성 및 동질성 (0) | 2024.07.28 |
---|---|
경관생태학(경관생태연구회) 목차, 차례 (0) | 2024.06.26 |
경관생태학(이동근 외) 목차, 차례 (0) | 2024.06.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