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관생태학, 이동근 외
Chapter 01 경관생태학의 기초
1-1 경관생태학의 개념
1. 경관생태학의 정의
2. 경관생태학의 발전
3. 경관생태학의 특징
1-2 경관의 구조
1. 패치
2. 주연부와 경계
3. 코리더와 연결성
4. 모자이크
1-3 경관의 기능과 변화
Chapter 02 지리정보시스템(GIS)/원격탐사(RS)와 경관생태학
2-1 지리정보시스템(GIS)의 개념 및 적용
1. GIS의 역사와 발전
2. GIS의 개념
3. GIS의 구성요소
2-2 원격탐사(RS)의 개념 및 적용
1. RS의 역사와 발전
2. RS의 개념 및 원리
2-3 RS/GIS의 경관생태학 적용사례
1. 이론적 근거
2. 선행 연구
2-4 토지이용과 경관변화
Chapter 03 지역환경시스템과 경관생태학적 지역구분
3-1 지역환경시스템
1. 거시적 측면에서의 전체상 파악
2. 등질지역과 결절지역
3-2 경관생태학의 지역구분과 관리
1. 자연지역구분
2. 자연지역에서의 기능적 관계
3. 경관생태학적 지역구분
3-3 비오톱의 개념 및 분류
1. 비오톱의 동향 및 관련이론
2. 비오톱의 보전 및 조성
3. 비오톱 지도화
Chapter 04 자연경관생태
4-1 산림
1. 산림과 녹지
2. 생태천이와 산림녹지경관
3. 산림녹지생태계와 산림대
4. 산림녹지경관의 생태적 보전과 계획
4-2 해양
1. 해양경관생태학
2. 해양의 유형별 경관생태
3. 해안경관의 인공적 변화
4. 해안경관보전
4-3 습지/자연 보전지역
1. 습지/자연보전지역생태계의 개념
2. 습지/자연보전지역생태계의 구조와 특성
3. 습지/자연보전지역생태계의 보전과 관리
Chapter 05 인공경관생태
5-1 농촌
1. 농촌에서의 경관생태학
2. 농촌녹지의 경관생태학적 특징
3. 생태공간도면의 필요성
4. 농촌 녹지경관의 분석
5. 농촌지역의 경관생태적 특성
6. 농촌경관의 생태학적 녹지계획 및 생태복원
7. 문화 - 생태적 모자이크 - 농촌경관
5-2 도시
1. 도시생태계의 개념
2. 도시경관생태의 구조와 특성
3. 도시경관생태의 보전과 관리
5-3 도로(비탈면), 댐, 광산·채석장, 옥상
1. 도로(비탈면)
2. 광산, 채석장
3. 댐
4. 옥상
Chapter 06 복원 및 개발계획에서의 경관생태
6-1 보전·복원계획과 경관생태
1. 보전생물학, 복원생태학, 경관생태학의 개념 및 관련성
2. 복원을 위한 경관생태학의 적용
3. 보호구 설계에 경관생태학의 적용
6-2 개발계획과 경관생태
1. 자연과 인공환경의 생태학
2. 비의도적인 환경변화의 제어
3. 생태적 개발과 환경보전
4. 생태통로(생태코리더) 및 생태축
5. 하천코리더(Riparian Corridor)
6-3 생태복원기술과 경관생태
1. 종 또는 개체군의 복원
2. 서식처 또는 군집의 복원
3. 생물다양성의 개념
Chapter 07 환경영향평가와 경관생태
7-1 환경영향평가 제도
7-2 환경영향의 경관생태학적 개념과 이해
7-3 사전환경성검토와 경관생태
1. 현황조사
2. 영향예측
3. 저감대책
7-4 환경영향평가와 경관생태
1. 현황조사
2. 영향예측
3. 저감대책
참고문헌
찾아보기
'경관생태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경관의 이질성 및 동질성 (0) | 2024.07.28 |
---|---|
경관생태학(경관생태연구회) 목차, 차례 (0) | 2024.06.26 |
경관생태학(이도원) 목차, 차례 (0) | 2024.06.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