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습지보전법상 습지 및 연안습지의 정의, 습지지역의 지정 기준, 습지보전·이용시설의 종류
[자연환경관리기술사 82회] 습지보전법상 습지 및 연안습지의 정의
[자연환경관리기술사 127회] 습지보전법에서 제시한 습지지역의 지정 기준
[자연환경관리기술사 122회] 『습지보전법』에 규정된 습지보전·이용시설의 종류
<연관 문제>
[자연환경관리기술사 88회] 습지보전법(2013년)에 따른 습지보호지역의 지정기준, 절차, 용도구역의 종류, 갈등해소를 위한 지역주민 등의 의견수렴방법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환경영향평가사 12회] 「습지보전법」에 따른 습지보호지역 및 습지개선지역의 지정요건, 훼손된 습지의 관리
[환경영향평가사 23회] 습지보전법에 따른 습지와 연안습지를 정의하고, 습지를 실효적으로 보전∙관리하기 위한 방안을 논하시오.
[자연환경관리기술사 82회] 습지보전법상 습지 및 연안습지의 정의
제1장 총칙
제2조(정의)
1. 「습지보전법」 상 습지의 정의
1) 습지란 담수(민물), 기수(바닷물과 민물이 섞여 염분이 적은 물) 또는 염수(바닷물)가
영구적 또는 일시적으로 그 표면을 덮고 있는 지역
2) 내륙습지 및 연안습지
2. 「습지보전법」 상 연안습지의 정의
: 만조 때 수위선과 지면의 경계선으로부터 간조 때 수위선과 지면의 경계선까지의 지역
[자연환경관리기술사 127회] 습지보전법에서 제시한 습지지역의 지정 기준
제2장 습지의 보전 및 관리
제8조(습지지역의 지정 등)
3. 습지지역의 지정 기준
구분 | 지정 기준 |
습지보호지역 | 1. 자연 상태가 원시성을 유지하고 있거나 생물다양성이 풍부한 지역 2. 희귀하거나 멸종위기에 처한 야생 동식물이 서식하거나 나타나는 지역 3. 특이한 경관적, 지형적 또는 지질학적 가치를 지닌 지역 |
습지주변관리지역 | 습지보호지역의 주변지역 |
습지개선지역 | 1. 습지보호지역 중 습지가 심하게 훼손되었거나 훼손이 심화될 우려가 있는 지역 2. 습지생태계의 보전 상태가 불량한 지역 중 인위적인 관리 등을 통하여 개선할 가치가 있는 지역 |
[자연환경관리기술사 122회] 『습지보전법』에 규정된 습지보전·이용시설의 종류
법 제12조(습지보전·이용시설)
시행령 제9조 (습지보전·이용시설)
4. 습지보전·이용시설의 종류
1) 습지를 보호하기 위한 시설
2) 습지를 연구하기 위한 시설
3) 나무로 만든 다리, 교육·홍보 시설, 안내·관리 시설로서 습지보전에 지장을 주지 아니하는 시설
4) 그 밖에 습지보전을 위한 시설
- 습지오염을 방지하기 위한 시설
- 습지생태를 관찰하기 위한 시설
습지보전법 | 국가법령정보센터 | 법령 > 본문 (law.go.kr)
습지보전법 | 국가법령정보센터 | 법령 > 본문
습지보전법 [시행 2021. 7. 6.] [법률 제17844호, 2021. 1. 5., 일부개정]
www.law.go.kr
728x90
'습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문경 돌리네 습지, 국내 람사르습지 등록 현황, 사례(5개소) (0) | 2024.04.19 |
---|---|
람사르협약, 람사르습지 등록 기준, 몽트뢰 목록 (0) | 2024.04.19 |
습지보호지역 지정 기준, 지정 절차, 지정 현황 (2) | 2024.04.18 |
람사르협약과 습지보전법에 따른 습지의 정의 및 지정범위, 습지의 유형 (0) | 2024.04.17 |
[자연환경관리기술사 113회] 람사르습지도시 인증제 (0) | 2024.04.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