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경 돌리네 습지(2024. 02. 02 등록)를 포함한 국내 람사르습지 등록 현황에 대한 자료입니다.
[조경기술사 117회] 람사르 협약에 등록한 우리나라 습지 5개소 사례와 각 습지의 특성 및 생태적 가치를 설명하시오. 답안지가 본문 하단에 있습니다.
[조경기술사 117회] 람사르 협약에 등록한 우리나라 습지 5개소 사례와 각 습지의 특성 및 생태적 가치를 설명하시오.
<연관 문제>
[자연환경관리기술사 80회] RAMSA협약에 따라 등록된 대암산 용늪, 창녕 우포늪, 그리고 순천 보성갯벌 의 특징을 비교 설명
[자연환경관리기술사 91회] 람사협약에 등록된 우리나라 습지 5개 이상 제시하고 우점하고 있는 대표식생을 설명
1. 국내 람사르습지 등록 현황
: 25개 지역, 203.166㎢
* 람사르습지에 등록되었으나, 습지보호지역으로 지정되지 않은 습지도 있음.
관련 자료: 습지보호지역 지정 기준, 지정 절차, 지정 현황 (tistory.com)
습지보호지역 지정 기준, 지정 절차, 지정 현황
습지보호지역 지정 기준, 지정 절차, 지정 현황에 대해 정리한 자료입니다. "문경 돌리네 습지" 람사르습지 등록(2024. 02. 02), "철원 이길리 습지보호지역" 지정(2023. 12. 29), 신불산 고산습지 → "양
captain-planet.tistory.com
구분 | 람사르습지명 | 습지보호지역명 |
환경부 (18개소) |
대암산용늪 | 대암산용늪 |
우포늪 | 우포늪 | |
신안장도 산지습지 | 신안 장도 산지습지 | |
제주 물영아리오름 | 제주 물영아리오름 | |
무제치늪 | 무제치늪 | |
두웅습지 | 두웅습지 | |
제주 물장오리오름 | 제주 물장오리오름 | |
오대산 국립공원 습지 | - | |
강화 매화마름 군락지 | - | |
제주 1100고지 | 제주 1100고지 | |
제주 동백동산 습지 | 제주 동백동산습지 | |
고창 운곡습지 | 고창 운곡습지 | |
한강밤섬 | - | |
제주 숨은물뱅듸 | 제주 숨은물뱅듸 | |
한반도습지 | 영월 한반도습지 | |
순천 동천하구 | 순천 동천하구 | |
고양 장항습지 | 한강하구 (경기 고양시 신평동, 장항동 일원) |
|
문경 돌리네 습지 (2024. 02. 02) |
문경 돌리네 | |
해수부 (7개소) |
순천만·보성갯벌 | 순천만갯벌 보성·벌교 갯벌 |
무안갯벌 | 무안갯벌 | |
서천갯벌 | 서천갯벌 | |
고창·부안갯벌 | 고창갯벌 부안줄포만 갯벌 |
|
증도갯벌 | 신안갯벌 (전남 신안군) |
|
송도갯벌 | 송도갯벌 | |
대부도갯벌 | 대부도갯벌 |
* 국내 람사르습지 등록 현황 업데이트(+ 평두메습지)
평두메습지, 26번째 람사르습지(24. 05. 13) (tistory.com)
평두메습지, 26번째 람사르습지(24. 05. 13)
무등산 평두메습지, 우리나라 26번째 람사르습지로 등록, 양서류 집단 서식지로서 산란·번식 과정에서 중요한 서식처 역할 수행 Ⅰ. 평두메습지 개요 1. 현황 1) 위치: 광주광역
captain-planet.tistory.com
2. 문경 돌리네 습지
1) 25번째 람사르습지(2024. 02. 02 등록)
2) 습지 형성이 어려운 돌리네 지형에 완벽한 습지(연중 일정 수량 유지)가 형성된 세계적으로도 희귀한 곳
* 돌리네(doline): 석회암지대 주성분인 탄산칼슘이 빗물이나 지하수에 녹으면서 형성된 접시 모양의 웅덩이로
빗물 등이 지하로 잘 빠져나가 통상적으로 물이 고이지 않는다.
3) 위치: 경북 문경시 산북면 우곡리 일원, 면적: 0.494 ㎢
4) 생태적 가치: 석회암지대의 돌리네에 형성된 내륙·산지형 습지로 멸종위기종 8종 포함
- 멸종위기 Ⅰ급(1종): 수달
- 멸종위기 Ⅱ급(7종): 구렁이, 물방개, 붉은배새매, 팔색조, 담비, 삵, 하늘다람쥐
5) 국제적 가치: 일반적으로 배수가 잘 되는 돌리네 지형에 형성된 독특한 습지로서
국제적으로 그 분포가 희귀하여 지형·지질학적 가치를 지님
6) 문경 돌리네 습지는 람사르습지 등록기준 중 3개(기준1~3) 기준 충족
관련자료: 람사르협약, 람사르습지 등록 기준, 몽트뢰 목록 (tistory.com)
3. 람사르습지 5개소 사례와 각 습지의 특성 및 생태적 가치
람사르습지명 | 특성/유형 | 생태적 가치 |
대암산용늪 | 산지습지 (고층습원) |
․ 국내 최초 람사르 습지 ․ 이탄층 발달 ․ 동식물의 남북한계·동서 구분 현상 지역, 북방계·남방계 식물 서식 ․ 가는오이풀 증식·재배 ․ 기생꽃, 수리부엉이, 삵, 담비, 하늘다람쥐, 왕은점표범나비 등(멸종위기 야생생물 Ⅱ급) ․ 산양(멸종위기 야생생물 Ⅰ급) |
우포늪 | 담수호습지 (배후습지) |
․ 국내 최고 원시자연습지 ․ 따오기 복귀 위한 논습지 조성 ․ 가시연, 큰고니, 노랑부리저어새, 큰기러기 (멸종위기 야생생물 Ⅱ급) ․ 황새(멸종위기 야생생물 Ⅰ급) |
제주 동백동산 습지 | 산지습지 (저습지) |
․ 세계 최초 람사르마을 지정 ․ 곶자왈습지 ․ 제주고사리삼(고유종) 유일한 지역 ․ 순채(멸종위기 야생생물 Ⅱ급) ․ 수생식물(마름, 택사, 통발, 석위) |
순천만·보성갯벌 | 연안습지 | ․ 내만형 갯벌습지 ․ 자연성 우수한 넓은 갯벌+갈대밭+염습지 ․ 저서생물(칠게, 갈게, 농게) ․ 칠면초 군락 |
강화 매화마름 군락지 | 인공습지 (논습지) |
․ 람사르협약 최초의 논습지 ․ 한국내셔널트러스트의 시민유산 1호 ․ 매화마름(멸종위기 야생생물 Ⅱ급) - 천수답, 무논경작방식 ․ 금개구리, 맹꽁이 등 서식 ․ 민물고기와 수중생물 산란터 제공 ․ 저어새, 재두루미 번식기 먹이터 역할 |
'습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습지의 기능과 가치, 습지의 일반기능평가(RAM기법) (1) | 2024.04.21 |
---|---|
습지의 구성요소, 지표, 수원(Water Source)에 따른 습지 유형/종류 및 특징, 습지 종류, 고층습원과 저층습원 (1) | 2024.04.20 |
람사르협약, 람사르습지 등록 기준, 몽트뢰 목록 (0) | 2024.04.19 |
습지보호지역 지정 기준, 지정 절차, 지정 현황 (2) | 2024.04.18 |
람사르협약과 습지보전법에 따른 습지의 정의 및 지정범위, 습지의 유형 (0) | 2024.04.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