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습지

습지총량제, 습지은행, 미국의 습지 Mitigation 결정절차

by 캡틴 케이 2024. 4. 24.
728x90
습지총량제와 습지은행의 개념, 미국의 습지 Mitigation 결정절차 답안지가 본문 하단에 있습니다.

 

썸네일

[자연환경관리기술사 83회] 습지총량제(No Net Loss)
[자연환경관리기술사 109회] 습지총량제와 습지은행의 개념, 국내적용방안을 설명하시오.
[환경영향평가사 5회] 습지총량제의 개념, 필요성 및 환경영향평가에서의 활용방안에 관하여 논하시오.

[자연환경관리기술사 97회] 미국의 습지 Mitigation 결정절차

참고 자료: 경관생태학, 구본학
                  생태복원 계획·설계론, 조동길

 

Ⅰ. 개요

     1. 습지총량제와 습지은행은 습지 보전을 위한 제도임.

     2. 습지총량제와 습지은행의 개념, 관리방식, 조성방식 등을 설명하겠음.

 

Ⅱ. 습지총량제

     1. 개념

          1) 습지 총량 유지 위한 제도

          2) "No Net Loss" 또는 "No Net Loss and Long Term Net Gain" 및 저감(mitigation) 전략

                - No Net Loss: 총량 중립, 순손실 방지

                - Net Gein: 과거 손실 습지 면적 확보 위해 습지 조성·복원

          3) 중요 습지 보전, 훼손 습지 복원하여 개발사업 전후의 습지 순손실 없어야 한다는 전략

     2. 선 회피 후 최소화(Avoid First, then Minimize) 전략

         → 그럼에도 불가피하게 사업이 진행되는 경우,

              ① 개발사업의 결과 습지의 순손실이 없어야 하며

              ② 손실이 발생한 경우, 대체습지를 조성하여야 한다. 

          1) 회피(Avoid)

               - 첫번째 단계, 우선적 적용

               - 습지 상실/훼손 시, 행위나 행위 일부를 취하지 못하도록 제한 

          2) 최소화(Minimize)

               - 불가피하게 습지 손실/훼손 초래 시, 그 영향 최소화되도록 행위, 이행의 정도/규모 제한

               - 영향 받은 환경 회복/복원, 영향을 수정(Rectify)하거나 감소(Reduce) 또는

                 제거(Eliminate)하도록 한다.

          3) 보상(Compensation): 습지의 창출·복원·향상, 대체자원/대체습지 조성

               - 이러한 과정을 통해 상실되는 습지에 대한 영향을 상쇄할 수 없는 경우

               - 습지 상실에 대한 보상, 습지 손실에 따른 완화 조치

               - 동일 지역(in-situ, on site) 내 동종의(in kind) 습지로 대체습지 조성 바람직

               * 대체습지 조상하기 위한 중요한 전제

                 ① 습지를 포함하는 개발사업의 결과, 습지의 순손실이 없어야 함

                 ② 순손실에는 습지의 면적과 기능을 모두 고려

                 ③ 표준화된 습지기능 평가 방법 정립: 기능 평가 결과 습지가 수행하는 기능 정도에 따라

                      금전적 가치(습지권 Credit)로 환산

Ⅲ. 습지은행제도

     1. 개념

          1) 대체습지 등 습지 보상·완화 조치 위한 대체습지 조성에 따른 문제점 해결 위한 정책적 도구

              → 대체습지 조성함으로써 습지총량 유지 가능

                 ① 습지개발자의 전문성 부족

                 ② 습지 조성에 오랜 기간 소요

                 ③ 대체습지 선정, 조성, 유지에 따른 많은 비용 부담

          2) 선 대체습지 조성 후 습지권(Credit) 판매 제도

                 ① 습지 전문가들에 의한 습지의 복원, 조성, 향상, 보전·관리

                      → 습지의 기능, 가치 적절하게 유지

                 ② 언제든 습지권(Credit) 판매 가능

                      → 보상·완화 조치 완료 위한 기간 단축

                 ③ 광범위한 지역, 장기간 관리

                      → 다른 지역(off site), 다른 유형(out of kind) 습지 가능

                      → 동일 지역(in-situ, on site) 내 대체습지 조성보다 효과적

     2. 습지은행 유형

단일은행 특정 개인/기관이 자신의 개인적 목적 위해 설립 은행
미국의 경우 도로 건설을 전담하는 연방교통성에서 주로 이용
공공 상업은행 대규모 습지은행 설립, 국민에게 저렴하게 습지권 제공 목적으로 정무, 공공기관, 비영리기관 설립 은행
민간 상업은행 개인/민간 기업이 수익 목적으로 설립
습지개발자에게 상업적으로 습지권 판매 은행

       

기금/대체납부금 방식 금전적 기여를 한 개인/단체에게 습지권 제공 또는 그 의무 면제 방식
정부관리 방식 정부/개별 지자체의 모든 습지은행의 습지권을 정부의 관리 하에 두되 습지권의 자유로운 판매나 양도가 가능한 형태
* 목적에 따른 분류
  1) 습지 대체 목적의 습지은행
  2) 서식지 보전 목적의 습지은행

 

     3. 습지은행 운영을 위한 구성 요소

          1) 습지은행 조성 대상지역(Bank Sites)

          2) 습지은행 기구(Bank Instruments)

          3) 습지은행 검토팀(Mitigation Bank Review Team(MBRT))

          4) 영업지역(Service Areas)

<습지은행 기구(Bank Instruments) 포함내용>
- 습지은행의 목적 및 목표 설정
- 습지권 Credit
- 조성 지역의 토지소유권
- 습지권 조성 지역의 규모, 습지/다른 수생태계자원의 종류 등 정보
- 습지권 조성 지역의 기초 현황 및 상황
- 지리적 습지 완화 조치 지역의 정보
- 보상 완화 조치에 적절한 습지/다른 수생태계자원의 영향
- 습지구건 구매 및 판매량 결정 방법
- 계정 절차
- 습지권 이용성
- 성능 기준(Performance Standards)
- 모니터링 계획
- 불의의 사고와 복원 행동 및 책임절차
- 재정 보증, 보상율, 장기 관리 및 유지규정

 

답안지-1
답안지-2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