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경기술사 124회] 습지 인벤토리(Wetland inventory) 답안지가 본문 하단에 있습니다.
[조경기술사 124회] 습지 인벤토리(Wetland inventory)
참고 자료: 습지생태학, 구본학
1. 람사르협약 습지 인벤토리 구축 목적
1) 지역의 습지 유형 및 분포
2) 국제적/국가적/지역적으로 중요한 습지 목록 구축
3) 습지 유형 분류 및 분포 파악
4) 이탄, 어류 및 야생생물, 물 등 자연자원 현황
5) 습지의 생태적 특성 변화 측정을 위한 근거
6) 습지 손실 및 훼손의 범위와 정도 평가
7) 습지의 가치에 대한 인식 증진
8) 습지 보전 및 관리 계획 수립을 위한 방법론 제공
9) 습지 보전 관리 전문가 및 관련 기관 네트워크 구축
2. 아시아 습지 인벤토리(AWI: Asian Wetland Inventory) 구축 목적
1) 생물다양성의 보전 및 습지 관리 계획을 위한 습지 정보 제공
2) 아시아 및 국제협약에 습지의 국가적, 국제적 주요 정보에 대한 수정 및 갱신
3) 습지 위치와 보전지역, 생태적·사회적·문화적 가치 확인
4) 습지 지역 변화 및 습지의 기능, 가치를 측정하는 기반 마련
5) 아시아의 국가적·국제적으로 중요한 습지에 대한 정기적인 정보의 갱신
3. 습지 인벤토리의 위계
: 데이터의 종류, 정밀도 등에 따라 Level 1 ~ 4 구분
1) Level 1: River basin or island
- 유역 수준의 광역 습지 조사 및 목록 작성
2) Level 2: Wetland region
- 소유역 수준의 습지 조사 및 목록 작성
3) Level 3: Wetland complex
- 대규모 습지 및 습지군
- 일반적인 습지 관리 및 정책 입안 적용
- 우리나라 습지 인벤토리 적용
4) Level 4: Wetland habitat
- 단위 습지 및 서식처
- 습지 정밀 평가 등 구체적 정보, 전략 수립 적용
<표> AWI에서 제시하는 습지 조사 항목(Koo, 2006)
조사항목 | Level 1 | Level 2 | Level 3 | Level 4 | |||
이름 및 코드 | ● | ● | ● | ● | |||
지질 | 지질학적 구역 | ● | |||||
지질학적 위치 | ● | ● | ● | ||||
기후적 특성 | ● | ● | ● | ● | |||
습지 재화와 서비스 | ● | ● | ● | ||||
생태적 특성 | 물리적 특성 | 생태권역의 유형 | ● | ● | |||
지질형태적 기반 | ● | ||||||
고도범위 | ● | ● | ● | ||||
공간 | 면적 | ● | ● | ||||
길이 | ● | ||||||
넓이 | ● | ||||||
유역형태 | 수심측정 | ● | |||||
유입 안정성 | ● | ||||||
연안지역의 흐름, 파도, 침전물 이동 | ● | ● | |||||
침식상태 | ● | ● | |||||
토양유형 | ● | ● | |||||
침전물/기반부 | ● | ||||||
수문 | ● | ● | ● | ||||
습지면적과 유형 | ● | ● | |||||
지질학적 특성 | ● | ● | |||||
지하수 | ● | ● | |||||
물리-화학적 특성 | 수질 | ● | |||||
지표수 | 온도 | ● | |||||
염도 | ● | ||||||
pH | ● | ||||||
투명도 | ● | ||||||
영양염류 | ● | ||||||
생물학적 특성 | 습지의 생물학적 조건 | ● | |||||
종과 생물학적 중요성의 조화 | ● | ||||||
식생 | 우점군락 | ● | |||||
우점종 | ● | ||||||
외래침입종 및 환경위해종 | ● | ||||||
종과 보존 중요성의 조화 | ● | ||||||
식피율 | ● | ● | ● | ||||
동물상 | 우점군과 우점종 | ● | |||||
보호종 | ● | ||||||
개체군 | ● | ||||||
외래침입종 및 위해종 | ● | ||||||
서식처 | ● | ● | |||||
서식처의 생물학적 중요성 | ● | ||||||
서식처 유형분류 | ● | ||||||
인구 통계 | ● | ||||||
토지이용 및 수자원 이용 | ● | ● | |||||
관리체계 | ● | ● | |||||
관리상의 문제점과 위협 요인 | ● | ● | ● | ● | |||
모니터링과 관리프로그램 | ● | ||||||
Data sheet 완성 | ● | ● | ● | ● |
4. 국가 습지 인벤토리
1) 우리나라에서는 2000년부터 5년 주기로 진행되는 전국 습지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국가습지목록과 GIS/DB를 구축하고 있으며, 국가 습지 인벤토리를 구축한 바 있다.
2) AWI Level 3 수준의 국가 습지 인벤토리(Koo, 2006)
대분류 | 소분류 |
이름과 코드 | - |
기후적 특성 | - |
물리적 특성 | 고도 범위 |
공간 | |
연안지역의 흐름, 파도 및 저층운동 | |
침식 상태 | |
토양 유형 | |
수체계 | |
지하수 | |
물리-화학적 특성 | 수질 |
생물학적 특성 | 습지군(complex)의 생물학적 조건 |
종과 생물학적 중요성의 조합 | |
서식처 | |
습지 재화와 서비스 | 군집 통계학 |
토지와 물 이용 | |
관할 | |
관리 문제와 위협 | |
Data Sheet 완성 | - |
5. 지역 습지 인벤토리
1) 일상생활을 통해 접근이 가능한 소규모 마을 습지들은 직접적인 습지생태계서비스를
제공함에도 훼손되었거나 훼손 위협에서 보호 받지 못하고 있음.
2) 습지 조사 및 인벤토리 구축을 지자체 등으로 확대하여 숨은 습지 발굴 및
지역 습지 인벤토리 구축함으로써 작지만 중요한 마을 습지 보전 필요
3) 광역 및 기조단체별로 지방정부에서 지역의 소규모 마을 습지를 조사 발굴하고,
지역 특성에 적합한 지역 습지 인벤토리 구축하여 보전·관리 정책 추진하는 것이
습지 관리를 위해 매우 중요함.
4) 마을 습지 인벤토리 구축 및 보전 전략 연구
1) 마을 습지 분포 현황 파악 |
· 마을 습지 가능지 선정 - 면적 기준 - 위성지도, 토지이용도, 토지피복도 확인, 현장조사 · 정밀 조사 대상지 선정 - 습지로서 중요한 대상지 - 습지 경계 100m 이내 마을, 활용도 높은 대상지 - 산 인접, 중·소형동물 이동거리 내 위치 대상지 |
2) 정밀 조사, 습지 기능 평가 |
· 일반 현황, 습지 유형, 수문, 토양, 식생, 동물상, 인문·사회환경, 생태 현황·위협 요인 등 · RAM 평가 |
3 보전 가치 판단 | · 습지 기능 및 보전 가치 등급 평가 |
4) 인벤토리 구축 | · 마을 습지 목록 구축 |
5) 보전 및 현명한 이용 방안 제안 |
· 습지 보전 ·복원 대책 수립 |
'습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습지의 천이, 육지화/육화/건조화, 이탄습지 (0) | 2024.04.25 |
---|---|
습지총량제, 습지은행, 미국의 습지 Mitigation 결정절차 (0) | 2024.04.24 |
습지생태계서비스, 간편평가법(RAWES) (1) | 2024.04.22 |
습지의 기능과 가치, 습지의 일반기능평가(RAM기법) (1) | 2024.04.21 |
습지의 구성요소, 지표, 수원(Water Source)에 따른 습지 유형/종류 및 특징, 습지 종류, 고층습원과 저층습원 (1) | 2024.04.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