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습지

습지의 기능과 가치, 습지의 일반기능평가(RAM기법)

by 캡틴 케이 2024. 4. 21.
728x90
[자연환경관리기술사 76회] 습지생태계의 주요기능을 간단하게 설명
[조경기술사 93회] 습지의 일반기능평가(RAM기법)에서 고려되어야할 8가지 기능
답안지가 본문 하단에 있습니다.

썸네일

[자연환경관리기술사 76회] 습지생태계의 주요기능을 간단하게 설명

[조경기술사 93회] 습지의 일반기능평가(RAM기법)에서 고려되어야할 8가지 기능

<연관 문제>
[조경기술사 78회] 습지의 정의와 기능을 설명하고, 보존을 위한 정책방안에 대해 논하시오.

[환경영향평가사 11회] 생물다양성의 보고인 습지 보전〮관리와 관련하여, 습지의 기능과 가치를 설명하고, 습지 기초조사를 통해 발굴한 '우수습지' 보전 및 관리방안에 대하여 논하시오.

참고자료: 습지생태학, 구본학

 

1. 람사르협약에 의한 습지의 기능과 가치

     1) 홍수 조절

     2) 지하수 유지

          - 전 세계 담수의 97% 저장하는 지하수층 함유

     3) 해안선 안정화 및 폭풍으로부터 보호

          - 바람·파도·조류 완화, 육지 보호

     4) 퇴적물 및 영양분 유지

          - 습지 생산성 제고

     5) 기후변화 완화

          - 지표 탄소의 40% 함유

     6) 수질 정화

     7) 생물다양성의 보고

          - 담수습지에는 지구상의 40% 이상의 종, 12%의 동물종 서식

          - 멸종위기종 서식

          - 산호초는 열대우림의 가치와 유사, 산호초에는 약 4,000종의 물고기, 800종의 산호 보유

     8) 습지 생산

          - 물고기, 해산물

     9) 레크레이션 및 관광

   10) 문화적 가치

          - 종교/역사/고고학/다른 문화적 관점에서 중요한 가치

 

2. 습지의 유형별 기능

구분 기능
고립된 습지
(Isolated wetlands)
물새 서식처, 야생생물 서식처, 홍수 조절, 침전 및 영양물질 조절, 경관미 제공
저수지변 습지
(Lake margin wetlands)
고립된 습지 기능, 유입수에 포함된 침전물 및 영양물질 제거, 어류 서식처
하천변 습지
(Riverine wetlands)
고립된 습지 기능, 침전물 조절, 제방의 안정
하구 및 해안습지
(Estuarine and coastal wetlands)
고립된 습지 기능,어류 및 조개류 서식처, 해양성 어류의 영양 공급원, 침식 방지
보초도 습지
(Barrier island wetlands)
언덕에 생육하는 식물/동물 서식처, 고에너지 파도로부터 배후지 보호, 경관미

 

3. 습지의 여러가지 기능

     1) 어류 및 야생동물 서식처

     2) 환경의 질 개선

          - 수질 정화 및 개선 기능

          - 습지 내 물질순환

     3) 사회 경제적 가치

          - 에너지의 근원, 경제적 기능, 레크레이션 기능

     4) 심미적 기능

     5) 수문학적 기능

           - 지하수 공급 및 보충

           - 침식 조절 및 호안 안정

           - 홍수 조절 기능

 

4. 습지의 일반기능평가(RAM기법)에서 고려되어야할 8가지 기능

8가지 기능/평가 항목 평가 요소
1) 식생 다양성 및 야생동물 서식처  - 다른 습지까지의 거리
- 식물 군집의 수
- 식물 군집의 혼재도
- 습지의 규모
- 주변 토지이용
- 야생동물의 이동 통로
2) 어류 및 양서파충류 서식처 - 영구적인 수체와의 관련성
- 개방수면의 비율
- 개방수면과 식생 피복과의 혼재도
- 수문 침수 정도
3) 홍수 저장 - 유역의 표면 유출
- 다른 지표수와의 연결 관계
- 유입 형태
- 유출 형태
- 습지 규모
- 유역에 대한 습지의 면적비
4) 유출 저감 - 유역권의 표면 유출
- 유입 형태
- 유출 형태
- 육역과 수역의 혼재도
- 수문 침수 정도
- 수로 또는 넓은 지표면 유출
- 식생형
- 습지 규모
5) 수질 보호 개선 - 유역의 유출능
- 유입원 형태
- 유출구 형태
- 개방수면의 면적비
- 최대 수심
- 수문 주기
- 지표수 흐름 유형(선형 수로, 넓게 분산)
- 습지 규모
- 습지와 유역의 면적비
6) 호안 및 제방 보호 - 지표수 흐름 유형(선형 수로, 넓게 분산)
- 식생형
- 식생대 폭
- 침식의 흔적
- 토지이용
- 바람 방향에 대한 수체의 형상
- 인근 수체의 위치
- 빙하 얼음덩이 흔적
- 보트 통행의 흔적
7) 심미적 레크리에이션 - 현존 식생의 종류
- 식생의 혼재도
- 규모
- 주변 토지이용
- 접근성
- 시각적 개방성
- 폐기물 등의 흔적
- 야생동물 서식처
- 어류 서식처
8) 지하수 보충 - 토양 특성
- 습지와 유역의 면적비
- 인근 유역의 유출능
- 유출구 형태

 

5. RAM 평가 보전등급 설정 기준

구분 판단 기준 보전 등급
우선 보전 고려 - 국제적 또는 국가적 보호 가치가 있는 보호종 서식
- 대표적이거나 희귀하여 보전 가치가 높음
절대보전
높음 - 평균 2.4 이상
- 개별 기능 평가 "높음"으로 나타난 전체 기능의 1/2 이상
- 평가 변수 가운데 "높음"으로 나타난 변수가 전체 평가 변수의 1/2 이상
- 변수 중 "높음"으로 나타난 변수가 전체 평가 변수의 1/3 이상이며,
   "낮음"으로 나타난 변수가 전체 평가 변수의 1/3 미만
보전
보통 - 전체 가치 평균이 1.7~2.3
- 기능 평가 "높음"으로 나타난 기능이 1개 이상이며,
  전체 기능의 1/2 미만
- 개별 기능 평가 "높음"으로 나타난 기능이 없으나
   "보통"으로 나타난 기능이 전체 기능의 2/3 이상
- 평가 변수 중 "높음"으로 나타난 변수가 전체 평가 변수의 1/2 이상
- 평가 변수 중 "높음"으로 나타난 변수가 1개 이상이며,
  전체 평가 변수의 1/2 미만
- 변수 중 "높음"으로 나타난 변수가 없으나
   "보통"으로 나타난 변수가 전체 평가 변수의 2/3 이상
향상
낮음 - 위의 경우 외의 모든 경우 향상 또는 대체 복원

   

답안지
답안지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