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안사구의 개념, 가치, 기능/역할, 형성 과정, 유형/구조, 사구습지, 신두리 해안사구, 두웅습지에 대해 정리하였습니다.
<해안사구 관련 기출문제>
[자연환경관리기술사 121회] 신두시사구와 두웅습지의 생태적 특징을 설명하시오.
[자연환경관리기술사 77회] 해안사구의 중요성을 약술하고 사구식생의 효과적인 복원방법에 대한 설명
[자연환경관리기술사 92회] 해안사구의 성립배경, 신두리사구 등에 나타나는 주요 사구 식생과 도입 가능한 식물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자연환경관리기술사 98회] 최근 해안 국립공원 내 유류오염사고로 인한 해안사구가 훼손되고 있어, 이에 대한 복원기본계획, 적용가능한 복원공법 및 사후관리계획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자연환경관리기술사 100회] 해안사구의 정의, 형성메카니즘, 가치와 훼손 시 복원방안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조경기술사 118회] 해안사구의 복원기법
참고자료: 습지생태학, 구본학
1. 해안사구의 개념
1) 사구란 모래의 이동에 의하여 형성된 모래언덕
2) 해안사구란 해류에 의하여 사빈으로 운반된 모래가 파랑에 의하여 밀려 올려지고,
그곳에서 탁월풍의 작용을 받아 모래가 해빈으로부터 이동하여
해빈 후면에 집적되어 형성되는 지형
3) 해빈의 모래가 바람에 날려 해빈 배후에 쌓인 모래언덕
2. 해안사구의 가치
1) 육지생태계와 해안생태계의 전이지역
- 두 생태계 속성 일부 지니며, 해안사구만의 독특한 서식 환경 제공
- 생태적 가치 높은 자연자원
- 생태 기능이 해안 및 인근 내륙습지와 기능적 연계
2) 해안 경관을 구성하는 주요 요소
3. 해안사구의 기능/역할
1) 육지와 바다 사이의 퇴적물 양 조절
2) 폭풍/해일로부터 해안 보호, 자연제방
3) 해빈 침식 저감하는 완충작용
4) 모래저장소
5) 물저장소
- 모래에 의해 정화된 깨끗한 물, 지하수로 저장
6) 해수면의 염수가 내륙 침투 방지하는 자연 장벽 기능
7) 내륙과 해안의 생태계 연결 기능
8) 뛰어난 시각 경관 제공
4. 해안사구의 형성 과정
1단계 | 파랑에 의한 퇴적작용으로 모래톱이 형성되면서 해풍에 의해 모래가 내륙 쪽으로 이동하고 선구군락이 모래톱 내륙부 사면에 출현 |
2단계 | 해풍에 의해 퇴적과 함께 덤불선에서 사구의 형성이 이루어짐. 해풍이 덤불선에 모래를 퇴적시키고 사초류 등 사구식생이 점차 확장 |
3단계 | 사구 전면 모래가 제거되어 2차 사구가 형성. 모래가 지속적으로 1차 사구에 퇴적된 상태에서 해풍과 파랑에 의해 1차 사구 전면에서 모래가 제거되고 사구 배후면으로 덤불이나 수목군락 정착 |
4단계 | 사초류 군락이 최고 만조선까지 번식하여 1차 사구가 방해받으며 2차 사구에 번식 |
5단계 | 1차 사구가 정착되고 2차 사구가 안정되기 시작. 1차 사구에 의해 염분의 비산이 저감되며 지면이 상승하고 사구식생이 점차 육상 식생으로 대체 2차 사구가 안정화되면서 사구 식생은 모래 집적이 불필요한 식생으로 대체되면서 안정화된 2차 사구의 후면에 수림대 형성 |
5. 사구 유형 및 구조
전사구/ 1차 사구 |
해빈에서 직접 날린 모래들이 쌓여 만들어진 가장 앞쪽의 사구 |
2차 사구 | 전면에 새로운 전사구가 발달해 그 배후에 놓인 사구 혹은 1차 사구가 바람에 의해 침식 후 재퇴적되어 만들어지는 사구 |
사구 저지 | 전사구와 2차 사구 사이의 저평한 지형 |
사구 습지 | 사구 저지에 형성된 호소 |
비치 리지 | 해안선과 평행한 여러 개의 사구열, 해안선이 바다 쪽으로 전진했음을 의미 |
6. 사구 습지(sand dune slack)
1) 지하수면이 지표면에 근접하거나 노출된 곳에서 나타나며,
전사구열과 2차사구열 사이에 일시적/영구적 발달하는 사구 저습지와
2차 사구열 후면에 배후 산지와의 사이에 발달하는 사구 배후습지로 구분할 수 있다.
사구 저습지 | 침수와 건조를 되풀이하며 산란처 제공, 이동통로 기능 |
사구 배후습지 | 수위 안정, 저수량 풍부하여 서식처, 종의 공급원 및 수요처, 이동통로 기능 물의 저장 및 담수의 공급원 |
2) 폭풍 차단, 물의 공급이 충분해 농업 경작에 유리
7. 신두리 해안사구
1) 국내 최대의 해안사구, 북서계절풍 의해 형성
2) 전사구 후면으로 낮은 사구 저습지 발달, 배후지역 외곳골에 두웅습지 위치
그 외에도 수무골, 탕수골, 넝배골, 개골 등 작은 골짜기 형성
* 두웅습지: 신두리사구의 배후습지
- 사구의 지하수화 연결, 물이 마르지 않음. 안정적 생태환경 제공
- 천연기념물, 습지보호지역, 람사르습지
- 금개구리, 맹꽁이, 표범장지뱀
3) 독특한 지형, 식생(해당화, 통보리사초, 갯메꽃), 조류의 산란장소
'습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평두메습지, 26번째 람사르습지(24. 05. 13) (1) | 2024.05.18 |
---|---|
갯벌의 개념, 기능 및 가치 (1) | 2024.04.28 |
system 수준의 습지 유형, 해안습지, 내륙습지 (0) | 2024.04.25 |
습지의 천이, 육지화/육화/건조화, 이탄습지 (0) | 2024.04.25 |
습지총량제, 습지은행, 미국의 습지 Mitigation 결정절차 (0) | 2024.04.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