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등산 평두메습지, 우리나라 26번째 람사르습지로 등록, 양서류 집단 서식지로서 산란·번식 과정에서 중요한 서식처 역할 수행
Ⅰ. 평두메습지 개요
1. 현황
1) 위치: 광주광역시 북구 화암동 530 일원(무등산 국립공원 내)
2) 면적: 0.023㎢(2.3ha)
2. 생태적 가치
: 묵논습지로 양서류 집단 서식지, 멸종위기야생생물 4종 서식
* 산지 계곡부에 발달한 충적지를 논으로 이용하던 지역이 방치됨에 따라 자연적인 천이가
이루어지고 있는 습지
* 개체수 또는 서식처 감소로 적극적 보호가 필요한 취약종, 위기종에 해당하는
멸종위기 야생생물 서식
* 양서류는 곤충 등 작은 유기체의 개체수 조절, 물과 공기의 질 변화에 민감하여
생태환경 건강을 나타내는 주요 지표이며, 상위 포식자(조류, 포유류) 위한 먹이원으로써
생태적으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어 대상지는 양서류 서식처로서 중요성이 높게 평가됨.
<묵논습지>
과거 인위적 관리에 의한 경작지(논)였으나 장기간 방치되면서 자연적인 천이가 이루어지며 야생생물의 서식지가 된 습지를 말하며, 인위적 간섭에서 벗어나면서 물이 고인 지역에 동·식물이 유입되며 생물다양성이 높아지게 됨.
<평두메습지 서식 멸종위기 야생생물 현황>
* 멸종위기 야생생물 Ⅰ급: 수달
* 멸종위기 야생생물 Ⅱ급: 담비, 삵, 팔색조
3. 국제적 가치
1) 멸종위기 야생생물 4종 서식
2) 우리나라 양서류 20종 중 8종 집단 서식지로서
양서류의 산란·번식 과정에서 중요한 역할 수행
<평두메습지 서식 양서류 8종>
도롱뇽, 두꺼비, 무당개구리, 옴개구리, 참개구리, 큰산개구리, 청개구리, 계곡산개구리
4. 람사르습지 등록기준 중 2개( 기준 2, 기준 4) 적합
<기준 2> 감소종, 멸종위기종, 최대멸종위기종 또는 위험생태서식군을 보유한 경우, 그 습지는 국제적으로 중요한 것으로 고려된다.
<기준 4> 생명 주기 중 중요 단계에서 식물 및/또는 동물종을 보유한 경우, 또는 악조건에서 피난처를 제공할 경우, 그 습지는 국제적으로 중요한 것으로 고려된다.
관련 자료: 람사르협약, 람사르습지 등록 기준, 몽트뢰 목록 (tistory.com)
람사르협약, 람사르습지 등록 기준, 몽트뢰 목록
람사르협약과 람사르습지 등록 기준, 몽트뢰 목록에 대해 정리하였습니다. [자연환경관리기술사 109회 몽트뢰 목록(Montreux record) 답안지가 본문 하단에 있습니다. [환경영향평가사 17회] 람사르협
captain-planet.tistory.com
5. 평두메습지 관리, 복원
1) 2020년부터 국립공원특별보호구역 선정, 지속적 관리
2) 훼손된 지역은 습지 내 진흙을 활용하여 차수벽을 시공하는 등
자연친화적인 공법 통해 복원을 진행하였음.
「자연공원법」 제28조(출입 금지 등)
① 공원관리청은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공원구역 중 일정한 지역을 자연공원특별보호구역 또는 임시출입통제구역으로 지정하여 일정 기간 사람의 출입 또는 차량의 통행을 금지ㆍ제한하거나, 일정한 지역을 탐방예약구간으로 지정하여 탐방객 수를 제한할 수 있다.
1. 자연생태계와 자연경관 등 자연공원의 보호를 위한 경우
2. 자연적 또는 인위적인 요인으로 훼손된 자연의 회복을 위한 경우
3. 자연공원에 들어가는 자의 안전을 위한 경우
4. 자연공원의 체계적인 보전관리를 위하여 필요한 경우
5. 그 밖에 공원관리청이 공익을 위하여 필요하다고 인정하는 경우
② 공원관리청은 제1항에 따라 지정한 자연공원특별보호구역에서 멸종위기종의 복원, 외래 동식물의 제거 등 필요한 조치를 할 수 있다.
③ 공원관리청은 제1항에 따라 사람의 출입 또는 차량의 통행을 금지하거나 탐방객 수를 제한하려는 경우에는 그 내용을 미리 인터넷 홈페이지에 게재하고, 안내판을 설치하는 등의 방법으로 공고하여야 한다.
Ⅱ. 국내 람사르습지 등록 현황(2024. 05. 13 기준)
1. 등록근거
: 습지보전법 제9조
2. 등록절차
: 습지조사 → 등록계획 수립 → 시·도지사 및 지역주민 의견수렴 → 관계부처 협의
→ 등록신청(환경부 → 람사르사무국) → 람사르 등록 심의(람사르사무국)
→ 등록 인증서 교부(람사르사무국 → 환경부)
3. 등록현황
: 26개 지역, 203.189㎢
구분 | 람사르습지명 | 습지보호지역명 |
환경부 (19개소) |
대암산용늪 | 대암산용늪 |
우포늪 | 우포늪 | |
신안장도 산지습지 | 신안 장도 산지습지 | |
제주 물영아리오름 | 제주 물영아리오름 | |
무제치늪 | 무제치늪 | |
두웅습지 | 두웅습지 | |
제주 물장오리오름 | 제주 물장오리오름 | |
오대산 국립공원 습지 | - | |
강화 매화마름 군락지 | - | |
제주 1100고지 | 제주 1100고지 | |
제주 동백동산 습지 | 제주 동백동산습지 | |
고창 운곡습지 | 고창 운곡습지 | |
한강밤섬 | - | |
제주 숨은물뱅듸 | 제주 숨은물뱅듸 | |
한반도습지 | 영월 한반도습지 | |
순천 동천하구 | 순천 동천하구 | |
고양 장항습지 | 한강하구 (경기 고양시 신평동, 장항동 일원) |
|
문경 돌리네 습지 (2024. 02. 02) |
문경 돌리네 | |
평두메습지 (2024. 05. 13) |
- | |
해수부 (7개소) |
순천만·보성갯벌 | 순천만갯벌 보성·벌교 갯벌 |
무안갯벌 | 무안갯벌 | |
서천갯벌 | 서천갯벌 | |
고창·부안갯벌 | 고창갯벌 부안줄포만 갯벌 |
|
증도갯벌 | 신안갯벌 (전남 신안군) |
|
송도갯벌 | 송도갯벌 | |
대부도갯벌 | 대부도갯벌 |
'습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갯벌의 개념, 기능 및 가치 (1) | 2024.04.28 |
---|---|
해안사구, 신두리 해안사구, 두웅습지 (1) | 2024.04.27 |
system 수준의 습지 유형, 해안습지, 내륙습지 (0) | 2024.04.25 |
습지의 천이, 육지화/육화/건조화, 이탄습지 (0) | 2024.04.25 |
습지총량제, 습지은행, 미국의 습지 Mitigation 결정절차 (0) | 2024.04.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