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습지

평두메습지, 26번째 람사르습지(24. 05. 13)

by 캡틴 케이 2024. 5. 18.
728x90
무등산 평두메습지, 우리나라 26번째 람사르습지로 등록, 양서류 집단 서식지로서 산란·번식 과정에서 중요한 서식처 역할 수행

 

썸네일

Ⅰ. 평두메습지 개요

     1. 현황

          1) 위치: 광주광역시 북구 화암동 530 일원(무등산 국립공원 내)

          2) 면적: 0.023㎢(2.3ha)

     2. 생태적 가치

         : 묵논습지로 양서류 집단 서식지, 멸종위기야생생물 4종 서식

           * 산지 계곡부에 발달한 충적지를 논으로 이용하던 지역이 방치됨에 따라 자연적인 천이가

             이루어지고 있는 습지

           * 개체수 또는 서식처 감소로 적극적 보호가 필요한 취약종, 위기종에 해당하는

             멸종위기 야생생물 서식

           * 양서류는 곤충 등 작은 유기체의 개체수 조절, 물과 공기의 질 변화에 민감하여

             생태환경 건강을 나타내는 주요 지표이며, 상위 포식자(조류, 포유류) 위한 먹이원으로써

             생태적으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어 대상지는 양서류 서식처로서 중요성이 높게 평가됨.

<묵논습지>
과거 인위적 관리에 의한 경작지(논)였으나 장기간 방치되면서 자연적인 천이가 이루어지며 야생생물의 서식지가 된 습지를 말하며, 인위적 간섭에서 벗어나면서 물이 고인 지역에 동·식물이 유입되며 생물다양성이 높아지게 됨.
<평두메습지 서식 멸종위기 야생생물 현황>
* 멸종위기 야생생물 Ⅰ급: 수달
* 멸종위기 야생생물 Ⅱ급: 담비, 삵, 팔색조        

 

     3. 국제적 가치

          1) 멸종위기 야생생물 4종 서식

          2) 우리나라 양서류 20종 중 8종 집단 서식지로서

              양서류의 산란·번식 과정에서 중요한 역할 수행

<평두메습지 서식 양서류 8종>
도롱뇽, 두꺼비, 무당개구리, 옴개구리, 참개구리, 큰산개구리, 청개구리, 계곡산개구리

 

     4. 람사르습지 등록기준 중 2개( 기준 2, 기준 4) 적합

<기준 2> 감소종, 멸종위기종, 최대멸종위기종 또는 위험생태서식군을 보유한 경우, 그 습지는 국제적으로 중요한 것으로 고려된다.

<기준 4> 생명 주기 중 중요 단계에서 식물 및/또는 동물종을 보유한 경우, 또는 악조건에서 피난처를 제공할 경우, 그 습지는 국제적으로 중요한 것으로 고려된다.

         관련 자료: 람사르협약, 람사르습지 등록 기준, 몽트뢰 목록 (tistory.com)

 

람사르협약, 람사르습지 등록 기준, 몽트뢰 목록

람사르협약과 람사르습지 등록 기준, 몽트뢰 목록에 대해 정리하였습니다. [자연환경관리기술사 109회 몽트뢰 목록(Montreux record) 답안지가 본문 하단에 있습니다. [환경영향평가사 17회] 람사르협

captain-planet.tistory.com

 

     5. 평두메습지 관리, 복원

          1) 2020년부터 국립공원특별보호구역 선정, 지속적 관리

          2) 훼손된 지역은 습지 내 진흙을 활용하여 차수벽을 시공하는 등

              자연친화적인 공법 통해 복원을 진행하였음.

「자연공원법」 제28조(출입 금지 등)
① 공원관리청은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공원구역 중 일정한 지역을 자연공원특별보호구역 또는 임시출입통제구역으로 지정하여 일정 기간 사람의 출입 또는 차량의 통행을 금지ㆍ제한하거나, 일정한 지역을 탐방예약구간으로 지정하여 탐방객 수를 제한할 수 있다.
1. 자연생태계와 자연경관 등 자연공원의 보호를 위한 경우
2. 자연적 또는 인위적인 요인으로 훼손된 자연의 회복을 위한 경우
3. 자연공원에 들어가는 자의 안전을 위한 경우
4. 자연공원의 체계적인 보전관리를 위하여 필요한 경우
5. 그 밖에 공원관리청이 공익을 위하여 필요하다고 인정하는 경우
② 공원관리청은 제1항에 따라 지정한 자연공원특별보호구역에서 멸종위기종의 복원, 외래 동식물의 제거 등 필요한 조치를 할 수 있다.
③ 공원관리청은 제1항에 따라 사람의 출입 또는 차량의 통행을 금지하거나 탐방객 수를 제한하려는 경우에는 그 내용을 미리 인터넷 홈페이지에 게재하고, 안내판을 설치하는 등의 방법으로 공고하여야 한다.

 

Ⅱ. 국내 람사르습지 등록 현황(2024. 05. 13 기준)

     1. 등록근거

         : 습지보전법 제9조

     2. 등록절차

         : 습지조사 → 등록계획 수립 → 시·도지사 및 지역주민 의견수렴 → 관계부처 협의

           → 등록신청(환경부 → 람사르사무국) → 람사르 등록 심의(람사르사무국)

           → 등록 인증서 교부(람사르사무국 → 환경부)

     3. 등록현황

         : 26개 지역, 203.189㎢

구분 람사르습지명 습지보호지역명
환경부
(19개소)
대암산용늪 대암산용늪
우포늪 우포늪
신안장도 산지습지 신안 장도 산지습지
제주 물영아리오름 제주 물영아리오름
무제치늪 무제치늪
두웅습지 두웅습지
제주 물장오리오름 제주 물장오리오름
오대산 국립공원 습지 -
강화 매화마름 군락지 -
제주 1100고지 제주 1100고지
제주 동백동산 습지 제주 동백동산습지
고창 운곡습지 고창 운곡습지
한강밤섬 -
제주 숨은물뱅듸 제주 숨은물뱅듸
한반도습지 영월 한반도습지
순천 동천하구 순천 동천하구
고양 장항습지 한강하구
(경기 고양시 신평동, 장항동 일원)
문경 돌리네 습지
(2024. 02. 02)

문경 돌리네
평두메습지
(2024. 05. 13)
-
해수부
(7개소)
순천만·보성갯벌 순천만갯벌
보성·벌교 갯벌
무안갯벌 무안갯벌
서천갯벌 서천갯벌
고창·부안갯벌 고창갯벌
부안줄포만 갯벌
증도갯벌 신안갯벌
(전남 신안군)
송도갯벌 송도갯벌
대부도갯벌 대부도갯벌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