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국제 동향, 환경문제, 환경정책

[자연환경관리기술사 115회] 오존의 생성과정을 설명하고, 오존이 산림생태계에 미치는 피해를 설명하시오.

by 캡틴 케이 2024. 6. 14.
728x90
[자연환경관리기술사 115회] 오존의 생성과정을 설명하고, 오존이 산림생태계에 미치는 피해를 설명하시오. 답안지가 본문 하단에 있습니다.

썸네일

Ⅰ. 서언

     1. 오존(O3)이란 산소원자 3개로 구성된 무색의 기체, 광화학반응 유래 2차 오염물질

     2. 오존의 생성과정은 NOx, VOCs + 태양광선 + O2 → O3,

         햇빛 강한 여름 낮, 습도 낮고 풍속 약한 조건

     3. 오존의 생성과정, 오존이 산림생태계에 미치는 피해 및 저감방안에 대해 설명하고자 함.

Ⅱ. 오존의 개념, 생성과정

     1. 개념

          1) 산소원자 3개로 구성된 무색의 기체, O3,

               - 강한 산화력

          2) 광화학반응 유래 2차 오염물질

               - 전구물질(NOx, VOCs)의 광화학 반응으로 생성

     2. 오존의 생성과정

          1) 인위적 생성

               - NOx, VOCs + 태양광선 + O2 → O3,

               - 햇빛 강한 여름 낮, 습도 낮고 풍속 약한 조건

               - NOx, VOCs 풍부할 때 고농도 오존 발생

               - NOx: 자동차 배기가스, VOCs: 휘발유, LPG 등

          2) 자연적 발생

               - 번개, 산불, 수목 등, 성층권 오존층 형성

Ⅲ. 오존이 산림생태계에 미치는 피해

     1. 식물 잎 생장 저해

          1) 활엽수

               - 잎 전체 극히 작은 회백색 또는 갈색 반점

          2) 침엽수

               - 잎 선단 괴저 및 생장 저해

     2. 임목 생장 저해

          1) 세포 기능 저해

               - 엽록소 기능 장애

               - 세포막 손상 → 호흡 증가 → 순광합성률 감소

          2) 물, 영양분 흡수 능력 저하

     3. 내충성, 내한성 저하

          1) 생리적 특성 변화

          2) 해충과 병원체 취약성 증가

     4. 생식 저해

          1) 꽃가루 생산 및 개화 저해
               - 카네이션 개화 60% 감소

               - 잎담배 꽃가루 생산 50% 감소

          2) 수확량 감소

               - 무 수확량 50% 감소

     5. 산림생태계 쇠퇴

          1) 오존 민감 식물군락 전체 피해

          2) 광합성 기능 저하, 생장·생식 저해로 산림 쇠퇴

Ⅳ. 오존에 의한 산림생태계 피해 저감방안

     1. 전구물질(NOx, VOCs) 발생 억제

          1) 친환경 교통수단 도입

          2) 자동차 배기가스 저감 장치 개발

     2. 전구물질 (NOx, VOCs) 저감 식재 계획

          1) 흡수 능력 효과 높은 수종 식재

          2) 식물의 대기오염 정화 기능 이용

     3. 오존 내성 강한 수종 식재

          1) 은행나무

               - 오존 내성 높고, NO2 흡수량 높아 도로변 식재

          2) 녹나무, 편백

     4. 오존의 과학적 연구 강화

          1) 발생원인 규명 및 대책

               - 전구물질 목록 작성    

               - 산림생태계 영향, 현황 진단

          2) 오존의 이동, 생성, 소멸 단계별 연구

               - 오존의 생태계 위해성

    5. 오존 관리 강화

          1) 산림생태계 영향 대기환경 기준 설정

          2) 오존에 의한 피해 모니터링

               - 오존 지표생물 활용

          3) 도심지역 고농도 오존 관리 강화

오존 답안지-1
오존 답안지-2
오존 답안지-3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