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온실가스와 온난화 지수"와 "환경부에서 제시한 온실가스 저감을 위한 5가지 고려사항"에 대해 정리하였습니다. "
[조경기술사 114회] 감축대상 7대 온실가스와 온난화 지수" 답안지가
본문 하단에 있습니다.

[자연환경관리기술사 118회] 환경부에서 제시한 온실가스 저감을 위한 5가지 고려사항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환경영향평가사 17회] 온실가스 지구온난화 지수(GWP, Global Warming Potential)
[조경기술사 114회] 감축대상 7대 온실가스와 온난화 지수
참고 자료: 온실가스 항목 환경영향평가등 평가지침, 2015.12.09
Ⅰ. 감축대상 7대 온실가스와 온난화지수
1. 온실가스, 온난화지수의 개념
1) 온실가스: 온실효과 일으키는 기체
2) 온난화지수(GWP): 이산화탄소 1kg 기준으로,
어떤 온실가스 1kg의 지구온난화 영향 정도를 측정하는 지수
2. 감축대상 7대 온실가스, 온난화지수
7대 온실가스 | 온난화지수 | 발생원 |
1) 이산화탄소 | 1 | 산업, 생활, 차량 연료 연소 |
2) 메탄 | 21 | 연료 연소, 가축의 장내 발효, 쓰레기 매립, 습지 |
3) 아산화질소 | 310 | 연료 연소, 자동차 배기가스, 쓰레기 소각, 하·폐수 |
4) 수소불화탄소 | 1,300 | 스프레이, 냉장고·에어컨 냉매 |
5) 과불화탄소 | 7,000 | 반도체 세척제, 전자부품 등 기밀성 시스템 |
6) 육불화황 | 23,900 | 전기절연가스, 전기기계 |
7) 삼불화질소 | 16,100 | 반도체, LCD 제조 |
Ⅱ. 온실가스 저감 5가지 고려사항
1. 저탄소형 토지이용
1) 자연환경(온실가스 흡수원)의 보전 및 복원
- 보호지역 지정 확대
- 녹지네트워크 구축
2) 자연순응형, 집약형 공간구조 형성
- 효율성 높은 공간구조 계획
- 생태경관 조화로운 건물 배치
3) 바람길 확보
- 대기 흐름 고려한 토지이용계획
- 녹지축 확보, 바람통로 조성
2. 에너지 효율 향상 및 절감
1) 에너지 효율 향상
- 고효율 에너지 이용시스템 설치
- 건물 녹화
2) 신재생에너지 도입
- 태양에너지, 바이오에너지 등
3. 자원의 재이용 및 순환
1) 폐기물 재활용 및 에너지화
- 폐기물 발생 최소화
- 메탄가스 회수, 에너지화
2) 물순환 시스템
- 그린인프라 도입, LID, GSI 적용
- 생태유수지, 투수성 포장
4. 생태녹지 확보
1) 공원·녹지 조성
- 도시숲, 그린웨이 조성
- 환경기초시설 상부에 생태공원 조성
2) 탄소저감 식재 계획
- 탄소 흡착 및 고정 효과가 높은 수종 선정: 상수리나무, 신갈나무 등
- 다층적 식재 구조
5. 친환경 건축 및 녹색교통
1) 친환경 건축
- 환경 부하 적은 재료
- 천연·재활용·반복사용 가능한 재료 활용
2) 녹색교통
- 보행 친화적 도로망
- 대중교통 확대
- 친환경 교통수단 도입
- 로드다이어트

'국제 동향, 환경문제, 환경정책' 카테고리의 다른 글
IUCN 생태계 적색목록(IUCN Red List of Ecosystem; RLE) (0) | 2024.06.22 |
---|---|
환경정책의 개념, 구성요소, 목표, 원칙, 수단, 특수성과 환경문제의 특성, 오염자부담원칙(PPP)과 수혜자부담원칙(UPP) (2) | 2024.06.18 |
유전자변형생물체(LMO), 카르타헤나 의정서(Cartagena Protocol) (0) | 2024.06.16 |
[자연환경관리기술사 115회] 오존의 생성과정을 설명하고, 오존이 산림생태계에 미치는 피해를 설명하시오. (0) | 2024.06.14 |
GEF와 GCF, 녹색인증제도 (0) | 2024.06.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