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국제 동향, 환경문제, 환경정책

온실가스, 온난화지수(GWP), 환경부에서 제시한 온실가스 저감을 위한 5가지 고려사항

by 캡틴 케이 2024. 6. 17.
728x90
"온실가스와 온난화 지수"와 "환경부에서 제시한 온실가스 저감을 위한 5가지 고려사항"에 대해 정리하였습니다. "
[조경기술사 114회] 감축대상 7대 온실가스와 온난화 지수" 답안지가
본문 하단에 있습니다.

썸네일

 

[자연환경관리기술사 118회] 환경부에서 제시한 온실가스 저감을 위한 5가지 고려사항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환경영향평가사 17회] 온실가스 지구온난화 지수(GWP, Global Warming Potential)

[조경기술사 114회] 감축대상 7대 온실가스와 온난화 지수

참고 자료: 온실가스 항목 환경영향평가등 평가지침, 2015.12.09

 

온실가스항목 평가지침(15.12.9개정).hwp
0.20MB

 

Ⅰ. 감축대상 7대 온실가스와 온난화지수

1. 온실가스, 온난화지수의 개념

     1) 온실가스: 온실효과 일으키는 기체

     2) 온난화지수(GWP): 이산화탄소 1kg 기준으로,

                                        어떤 온실가스 1kg의 지구온난화 영향 정도를 측정하는 지수

2. 감축대상 7대 온실가스, 온난화지수

7대 온실가스 온난화지수 발생원
1) 이산화탄소 1 산업, 생활, 차량 연료 연소
2) 메탄 21 연료 연소, 가축의 장내 발효, 쓰레기 매립, 습지
3) 아산화질소 310 연료 연소, 자동차 배기가스, 쓰레기 소각, 하·폐수
4) 수소불화탄소 1,300 스프레이, 냉장고·에어컨 냉매
5) 과불화탄소 7,000 반도체 세척제, 전자부품 등 기밀성 시스템
6) 육불화황 23,900 전기절연가스, 전기기계
7) 삼불화질소 16,100 반도체, LCD 제조

 

Ⅱ. 온실가스 저감 5가지 고려사항

1. 저탄소형 토지이용

     1) 자연환경(온실가스 흡수원)의 보전 및 복원

          - 보호지역 지정 확대

          - 녹지네트워크 구축

     2) 자연순응형, 집약형 공간구조 형성

          - 효율성 높은 공간구조 계획

          - 생태경관 조화로운 건물 배치

     3) 바람길 확보

          - 대기 흐름 고려한 토지이용계획

          - 녹지축 확보, 바람통로 조성

2. 에너지 효율 향상 및 절감

     1) 에너지 효율 향상

          - 고효율 에너지 이용시스템 설치

          - 건물 녹화

     2) 신재생에너지 도입

          - 태양에너지, 바이오에너지 등

3. 자원의 재이용 및 순환

     1) 폐기물 재활용 및 에너지화

          - 폐기물 발생 최소화

          - 메탄가스 회수, 에너지화

     2) 물순환 시스템

          - 그린인프라 도입, LID, GSI 적용

          - 생태유수지, 투수성 포장

4. 생태녹지 확보

     1) 공원·녹지 조성

          - 도시숲, 그린웨이 조성

          - 환경기초시설 상부에 생태공원 조성

     2) 탄소저감 식재 계획

          - 탄소 흡착 및 고정 효과가 높은 수종 선정: 상수리나무, 신갈나무 등

          - 다층적 식재 구조

5. 친환경 건축 및 녹색교통

     1) 친환경 건축

          - 환경 부하 적은 재료

          - 천연·재활용·반복사용 가능한 재료 활용

     2) 녹색교통

          - 보행 친화적 도로망

          - 대중교통 확대

          - 친환경 교통수단 도입

          - 로드다이어트

온실가스, 온난화지수 답안지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