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IUCN 생태계 적색목록의 개념, 분류 기준, 등급 유형에 대해 정리하였습니다.
[자연환경관리기술사 133회] IUCN 생태계 적색목록(IUCN Red List of Ecosystem; RLE)의 개념과 분류 기준, 등급 유형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참고자료 : (보도자료) 생태계 보전의 길잡이, 생태계 적색목록 지침서 한글판 발간, 국립생태원, 2023. 12
IUCN 생태계 적색목록 범주·기준 지침(한글판), 국립생태원, 2023. 12.
(보도자료) 생태계 보전의 길잡이, 생태계 적색목록 지침서 한글판 발간.hwp
0.87MB
IUCN_생태계_적색목록_범주_및_기준_지침.pdf
3.33MB
1. IUCN 생태계 적색목록의 개념
1) 생태계 건강 상태를 평가하고 위협을 식별하여 보전 노력을 지원하는 도구
2) IUCN에서 제안한 위협받는 생태계를 평가하는 방법으로,
생물다양성협약(CBD)에서 제시한 생물다양성 보전을 위해
2030년까지 달성해야 하는 목표의 달성정도를 평가하는 지표로 활용됨.
3) 다양한 생태계 유형 및 지리 등에 관한 광범위한 적용성, 과학적 투명성 및 엄격성,
정책결정자 및 대중적 이해의 용이성을 기초로 설계되었음.
4) 생태계 상태를 모니터링하고, 자원 이용·관리에 관한 의사결정을 지원하는데 활용 위함.
2. IUCN 생태계 적색목록의 분류 기준
기준 | 목적 | |
1) 기준 A | 지리분포 감소 | 생태계 손실·파편화를 유발하는 위협으로 인해 면적이 감소하고 있는 생태계를 식별한다. |
2) 기준 B | 지리분포 제한 | 지리적으로 뚜렷한 위협·재해에 취약한 소규모 분포의 생태계를 식별한다. |
3) 기준 C | 환경 황폐화 | 환경 황폐화를 겪고 있는 생태계를 식별한다. |
4) 기준 D | 생태 천이/상호작용 교란 | 주요 생태 천이/상호작용으로 손실 또는 교란을 겪고 있는 생태계를 식별한다. |
5) 기준 E | 생태계 붕괴 확률을 추정하는 정량 분석 |
여러 위협·징후 및 그 상호작용을 종합적으로 평가한다. |
3. IUCN 생태계 적색목록 등급 유형
등급 | 기호 | 영명 |
1) 붕괴 | CO (Collapsed) |
한 생태계를 정의하는 생물/무생물 특성이 모든 생태계 발생에서 사라지고, 특징적인 고유 생물상(Native Biota)이 더 이상 유지되지 않을 때, 해당 생태계를 붕괴(CO)상태로 본다. 또한, 특징적인 고유 생물상의 진단적 구성요소가 생태계에서 대부분 사라지거나, 기능적 구성요소(생태계 구성에서 핵심역할을 수행하는 생물상)가 상당히 줄어든 상태에서 새로운 개체를 수용할 수 있는 능력이 사라지면 붕괴가 발생할 수 있다. |
2) 위급 | CR (Critically Endangered) |
생태계가 위급(CR)의 기준 A~D 중 하나 이상을 충족한다는 증거를 입증할 수 있는 경우로, 붕괴 위험이 극히 높은 상태이다. |
3) 위기 | EN (Endangered) |
생태계가 위기(EN)의 기준 A~E 중 하나 이상을 충족한다는 증거를 입증할 수 있는 경우로, 붕괴 위험이 매우 높은 상태이다. |
4) 취약 | VU (Vulnerable) |
생태계가 취약(VU)의 기준 A~E 중 하나 이상을 충족한다는 증거를 입증할 수 있는 경우로, 붕괴 위험이 높은 상태이다. |
5) 준위협 | NT (Near Threatened) |
기준을 통한 평가 결과 현재 생태계가 위급(CR), 위기(EN), 취약(VU)의 기준에 해당하지는 않으나, 이 기준에 근접하거나 가까운 미래에 이 기준을 충족할 가능성이 높은 상태이다. |
6) 최소관심 | LC (Least Concern) |
기준을 통한 평가 결과 현재 생태계가 위급(CR), 위기(EN), 취약(VU), 준위협(NT)의 기준에 해당하지 않는 경우이다. 널리 분포하면서 비교적 황폐화가 덜 진행된 생태계들이 이 범주에 속한다. |
7) 정보부족 | DD (Data Deficient) |
분포 감소, 생태계 기능 교란, 물리적 환경 황폐화를 기초로 생태계 붕괴 위험을 직간접적으로 평가하는 데 필요한 정보가 불충분한 경우이다. 정보부족(DD)은 위험 범주에 속하지 않으며, 특정한 수준의 붕괴 위험을 직간접적으로 평가하는 데 필요한 정보가 불충분한 경우이다. 정보부족(DD)은 위험 범주에 속하지 않으며, 특정한 수준의 붕괴 위험을 뜻하지도 않는다. 생태계를 이 범주로 분류한다는 것은 생태계의 검토를 진행하였으나 위험 상태를 결정하려면 더 많은 정보가 필요하다는 의미이다. |
8) 미평가 | NE (Not Evaluated) |
기준을 통한 평가를 진행하지 않은 생태계이다. |
728x90
'국제 동향, 환경문제, 환경정책' 카테고리의 다른 글
쿤밍-몬트리올 GBF 주요내용 (0) | 2024.07.09 |
---|---|
창녕 생물권보전지역 (0) | 2024.07.08 |
환경정책의 개념, 구성요소, 목표, 원칙, 수단, 특수성과 환경문제의 특성, 오염자부담원칙(PPP)과 수혜자부담원칙(UPP) (2) | 2024.06.18 |
온실가스, 온난화지수(GWP), 환경부에서 제시한 온실가스 저감을 위한 5가지 고려사항 (0) | 2024.06.17 |
유전자변형생물체(LMO), 카르타헤나 의정서(Cartagena Protocol) (0) | 2024.06.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