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호지역 관리효과성평가(MEE) 개념, 필요성, 원칙, 틀에 대해 정리하였습니다.
[자연환경관리기술사 107회] 관리효과성평가(Management Effectiveness Evaluation)
[환경영향평가사 12회] 세계자연보전연맹(IUCN)에서 제시한 보호지역에 대한 관리효과성평가(Management Effectiveness Evaluation)의 개념, 평가지표 및 기대효과
참고 자료: 특별보호구역 관리효과성평가, 2018. 12, 국립공원공단
1. 보호지역 관리효과성평가 개념
1) 보호지역의 가치를 보호하고 목적과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보호지역 관리가 얼마나 효과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는지를 평가하는 체계
2) 보호지역 및 보호지역 체계에 대한 디자인 이슈,
관리체계 및 절차에 대한 타당성과 적절성,
다양한 보호지역 목표에 대한 성취도 평가
2. 필요성/기대효과
1) 예산 제공자(국민, 보전단체)
- 알 권리 충족, 정보 제공
2) 정책 입안자, 의사결정권자
- 의사결정 근거 자료, 관리정책과 기법 개선
3) 보호지역 관리자
- 관리 성과 기록, 관리 위협 대응, 정보구축, 관리 개선, 관리수단 활용
3. 관리효과성평가 원칙
1) 관리효과성평가의 목적을 명료하고 정확하게 정의하고 문서화함
2) 관리효과성평가의 결과가 의사결정 및 관리에 있어서 효과적이어야 함
3) 관리효과성평가의 목적이 관리기관의 전략, 목표, 비전과 부합하여야 함
4) 관리자가 평가에 동의해야 함
5) 관리자를 포함한 내부 및 외부 이해당사자들이 평가 과정에 참여해야 함
6) 관리효과성평가의 목적은 보호지역 혹은 관리목적 간 우선순위를 매기고
관련성과 유용성을 보증할 수 있는 격차를 파악하는 것임
7) 이해당사자들 간에 관리효과성평가 수행과정 및 결과를 공유함
8) 관리효과성평가 결과를 통해 도출된 결과를 반영하여 지속적으로 개선될 수 있는
적응형 관리를 실시하도록 하는 것임
4. IUCN-WCPA는 보호지역 관리를 위하여 국제적으로 통용될 수 있는
관리효과성평가를 위한 일반적인 틀을 개발하고,
6가지 관리 분야의 모든 영역을 가능한 포함시킬 것을 제안하였음
구성요소 | 설명 | 평가대상 | 평가척도 | 평가초점 |
상황, 정황 |
현재 우리의 상황은? | - 중요성 - 위협요소 - 정책환경 |
- 중요성 - 위협요소 - 취약성 - 국가정책 |
현황 |
계획 | 우리가 원하는 상태는? | - 보호지역 디자인 및 계획 | - 법률 및 정책 - 개별보호지역 - 보호지역시스템 디자인 |
적정성 |
투입 | 무엇이 필요한가? | - 관리를 위해 필요한 자원 | - 기관의 자원 - 개별보호지역의 자원 - 관리동반자 |
경제 |
과정 | 어떻게 원하는 상태에 도달할 것인가? | - 관리수행방식 | - 관리과정의 적정성 | 효율성 |
결과 | 어떤 결과가 나왔나? | - 성취량 | - 관리 활동 결과 - 서비스 및 성과물 |
효과성 |
성과 | 무엇을 성취하였나? | - 성취량 | - 목적과 관련된 관리효과 |
효과성, 적정성 |
'국제 동향, 환경문제, 환경정책'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자연기반해법(NbS, Nature-based Solution)의 개념/정의, 원칙, NbS 국제 표준, IUCN에서 제시한 5가지 유형/접근방식 (0) | 2024.07.11 |
---|---|
2030 국가보호지역 확대 로드맵 (0) | 2024.07.10 |
쿤밍-몬트리올 GBF 주요내용 (0) | 2024.07.09 |
창녕 생물권보전지역 (0) | 2024.07.08 |
IUCN 생태계 적색목록(IUCN Red List of Ecosystem; RLE) (0) | 2024.06.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