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30 국가보호지역 확대 로드맵 내용 중 추진 배경, 국내 보호지역 현황, 비전 및 목표, 국가 보전목표 및 성과지표에 대해 정리하였습니다.
참고 자료: 2030 국가보호지역 확대 로드맵, 2023. 12, 관계부처 합동
관련 자료: 쿤밍-몬트리올 GBF 주요내용 (tistory.com)
쿤밍-몬트리올 GBF 주요내용
쿤밍-몬트리올 GBF 주요내용에 대해 정리하였습니다.참고 자료: 제5차 국가생물다양성전략(2024~2028년), 2023. 12, 관계부처 합동 쿤밍-몬트리올 GBF 주요내용비전(2050 Vision)자연과 조화로운 삶(Living i
captain-planet.tistory.com
자연환경 관련 보호지역 종류, 국내 보호지역 현황, 지정요건/지정기준 (tistory.com)
자연환경 관련 보호지역 종류, 국내 보호지역 현황, 지정요건/지정기준
자연환경 관련 보호지역 기출문제 답안지가 본문 하단에 있습니다. [자연환경관리기술사 128회] 자연환경 관련 보호지역 종류[자연환경관리기술사 95회] 우리나라 현지 내 보존에 있어 중요한
captain-planet.tistory.com
1. 추진 배경
1) 쿤밍-몬트리올 GBF(K-M GBF)에서 '30년까지 전 지구의 최소 30%를
보호지역과 OECM으로 관리 목표(30 by 30) 설정(CBD COP15, '22.12)
* Targe 3
생물다양성과 생태계서비스에 특별히 중요한 육지·해양 최소 30% 보호지역, 기타 효과적인 보전수단(OECM) 통해 관리
2) Aichi Target(by 2020) → K-M GBF(by 2030)
3) 국제사회와의 약속이행을 위해 범부처 차원의 목표 설정,
OECM 체계적 발굴·등재 방향 설정 등 국내 보호지역 확대 전략 필요
* OECM(Other Effective Area-based Conservation Measure)
1) OECM이란 자연공존지역, 기타 효과적인 보존수단
2) 보호지역(PA, Protected Areas)은 아니지만, 장기간 생물다양성 보전에 기여하면서 관리되는 지역
3) 보호지역은 아니지만, 생물다양성 연관된 생태계 기능과 서비스, 경우에 따라 문화적/영적/사회·경제적/기타 지역으로 연관된 가치의 긍정적이고 지속가능한 현지 내 보전 성과를 성취하는 방향으로 운영·관리되는 지리적으로 규정된 지역
2. 국내 보호지역 현황
1) 정량 수치
- 내륙(육상+육수) 17.3%(17,351㎢), 연안·해양 1.8%(7,968㎢)를 보호지역으로 지정·관리 중
('22년 기준)
2) 질적 수치
- K-M GBF에서는 특히 생물다양성, 생태계의 기능 및 서비스 측면에서 중요지역을
보호지역으로 지정·관리 권고
* 중요생물다양성지역(KBAs, Key Biodiversity Areas)
1) CBD에서 세계보호지역 평가척도로 적용하는 곳
2) IUCN 적색목록인 멸종위기종 분포, 생태계 위협정도 등 과학적 근거를 기반으로 지정
3) 한강하구, 만경강 및 하구, 무안갯벌 등 중요조류서식지 40개소(2,023.3㎢) 중 28.7%(580.7㎢) 보호
3. 비전 및 목표
4. 국가 보전목표 및 성과지표
'국제 동향, 환경문제, 환경정책'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자연기반해법(NbS, Nature-based Solution)의 개념/정의, 원칙, NbS 국제 표준, IUCN에서 제시한 5가지 유형/접근방식 (0) | 2024.07.11 |
---|---|
관리효과성평가(MEE, Management Effectiveness Evaluation) (0) | 2024.07.10 |
쿤밍-몬트리올 GBF 주요내용 (0) | 2024.07.09 |
창녕 생물권보전지역 (0) | 2024.07.08 |
IUCN 생태계 적색목록(IUCN Red List of Ecosystem; RLE) (0) | 2024.06.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