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생태복원

표범장지뱀 대체서식지

by 캡틴 케이 2024. 7. 27.
728x90

썸네일

 

[자연환경관리기술사 134회] 표범장지뱀(Eremias argus)의 생태적 특징, 주요 서식지 범위와 적합한 대체서식지 유형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참고 자료: 표범장지뱀 대체서식지 조성 가이드북, 2020. 12, 국립생태원

연구출판물(상세) | 연구성과 | 연구 | 국립생태원 (nie.re.kr)

 

국립생태원

환경부 산하, 생태조사·연구, 멸종위기종 복원, 전시·교육기관

www.nie.re.kr

1. 표범장지뱀의 생태적 특징

     1) 분류

         파충강(Reptilies) - 뱀목(Squamata) - 도마뱀아목(Sauria) - 장지뱀과(Lacertidae) -

         표범장지뱀속(Eremias) - 표범장지뱀(Eremias argus)

     2) 나이

         : 야생에서 보이는 성체들 중 3~4년생 개체들이 가장 많았음(김자경, 2010)

구분 평균 나이 나이 범위
암컷 4.47±0.35살 2~11살
수컷 3.72±0.27살 2~8살

 

     3) 성장

          : 암컷과 수컷 간 최대 성장 크기는 차이가 없으나, 성장률은 수컷이 암컷보다 높았음

            (김자경, 2010)

구분 개체 최대 크기 성장계수(k)
암컷 70.07±3.94㎜ 0.22±0.04
수컷 67.81±7.42㎜ 0.26±0.08

 

     4) 산란 개수

          : 산란을 2회에 걸쳐 진행하며, 1회에 약 3개의 알을 낳음

             한 번의 번식기 동안 약 6개의 알을 낳음(김빛나, 2012)

     5) 알의 모양

          : 산란 직후의 알은 껍질이 부드럽고 백색이었으나, 시간이 지남에 따라 껍질이 단단해지고

            전체적으로 선홍빛으로 변화, 부화 직전의 알은 윗부분이 약간 푸른빛을 띠었으나,

            아랫부분은 선홍빛을 띰(김자경, 2010)

     6) 먹이원

          : 초본류에 서식하는 작은 곤충류, 거미류 등을 섭식함

          - 초본류에 서식하는 나비목 유충, 방아깨비, 진딧물이나

            모래사장 돌이나 나무 아래 서식하는 큰집게벌레를 섭식하였음

          - 가시늑대거미, 족제비거미, 밭고랑거미과 sp.와 같은 지표성 거미를 섭식함

          - 서식지 주변에서 쉽게 포식할 수 있는 종들을 섭식함

          - 먹이활동은 지표 또는 지표에서 가까운 곳에서 이루어지며,

            먹이 대상종은 활동성이 낮아 사냥이 쉬운 개체를 선호(정종철과 송재영, 2010)

          - 중국에서는 먹이원으로 메뚜기류를 가장 많이 섭식하였고,

            그 다음으로 딱정벌레류, 개미류를 섭식함.

            메뚜기류의 밀도가 표범장지뱀의 개체군 조절에 매우 중요한 요인으로 파악됨

            (Huang et al., 2016)

연구사례 먹이원
정종철과 송재영, 2010 나비목 (Lepidoptera) 30.6%, 거미목(Araneae) 20.4%, 집게벌레목(Dermaptera) 18.4%, 단각목(Amphipoda) 10.2%, 딱정벌레목(Coleoptera) 8.2%, 매미목(Homoptera) 6.1%, 메뚜기목(Orthoptera) 4.1%, 풀잠자리목(Neuroptera) 2.0%
Huang et al., 2016 메뚜기류, 딱정벌레류, 개미류, 매미충, 나방류, 벌류, 거미류

 

     7) 포란 기간

         - 24 ~ 30℃ 사이에서 포란했을 때 온도가 낮을수록 포란 기간은 길었지만,

           유생간의 형태적 차이는 없었으나,

           30℃보다 24℃와 28℃에서 태어난 유생들의 움직임 더 좋았음(Hao et al., 2006)

        - 인공 부화기의 설정온도는 27 ~ 29˚, 습도는 75~90%이었음(김빛나, 2012)  

연구사례 상용부화기(29℃, 습도 90%) 제작품(27.6℃, 습도 74.8%)
김빛나, 2012 약 38일 약 50일

 

     8) 어린 개체

         : 알에서 막 부화한 개체의 몸길이는 2.5 ~ 3㎝이며, 꼬리길이도 몸길이와 비슷함

     9) 1~2년생

         : 교미가 가능하지 않은 시기로, 아직 어린 개체의 모습을 가지고 있음

     10) 성체

            - 표범장지뱀 성체의 몸길이는 4.5 ~ 5㎝이며, 꼬리길이는 5 ~ 6㎝임(Chang and Oh, 2012).

            - 몸은 회색이나 황갈색이고, 배는 흰색이며, 등면을 중심으로 강렬한 표범 무늬가 있음

            - 서식지에서 매우 빠르게 이동하여 사람이 쫓아가기 어려움

            - 우리나라 도마뱀류 중 가장 빠르게 이동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음

     11) 동면 시작 시기

           : 10월 말부터 시작되어 11월 중순까지

     12) 동면에서 깨어나는 시기

           : 4월부터 활동함

     13) 번식기

           - 암컷 1개체가 2회의 번식 기간을 가짐(김빛나, 2012/ Ma et al., 2019)

           - 1차 번식기: 5월 하순~6월 중순

           - 2차 번식기: 6월 하순~7월 초순

     14) 활동 시간

           : 주로 오전 8시부터 오후 6시까지 활동하며, 야간에는 거의 움직이지 않음

     15) 활동과 강수와의 관계

           - 비가 오는 날에는 활동을 거의 하지 않음

           - 강수와 상관관계가 높음

* 표범장지뱀 현장 조사 시기

표범장지뱀의 서식 유무 및 서식영역을 파악하기 위해서는 4월 초순(동면에서 깨어나는 시기)부터 11월 중순(동면에 들어가는 시기)까지 수행할 수 있지만 활동성이 높은 시기에 집중적으로 조사하는 것이 중요함

표범장지뱀의 번식기인 5월 하순 ~ 7월 초순에 성체들의 움직임이 활발하고, 8월 중순부터는 알에서 깨어난 1년생들이 증가하여 더 쉽게 개체를 확인할 수 있음

표범장지뱀은 뚜렷한 주행성 특징을 보이기 때문에 오전 8시부터 오후 6시까지 조사하는 것이 적절함

강수와 양의 상관관계를 보이기 때문에 최대한 날씨가 맑고 비가 오지 않는 날 조사하는 것이 적절함

 

2. 표범장지뱀의 주요 서식지 범위

     1) 표범장지뱀은 해안·하천변의 특정 부분에 서식

     2) 표범장지뱀은 물이 잠기는 부분에는 서식하지 않음

     3) 물에 잠기지 않더라도 순수한 모래/자갈로 구성된 부분은 사용하지 않음

     4) 사구지역에 형성된 초지대를 주로 이용함

     5) 해안·하천변 위로 조성된 관목지대는 많이 이용하지 않음

표범장지뱀의 주요 서식지 범위
표범장지뱀의 주요 서식지 범위

 

3. 표범장지뱀의 적합한 대체서식지 유형

     1) '창출'과 '복원'보다는 '향상'의 유형이 적합함

표범장지뱀의 서식지 중 가장 중요한 요인인 모래 지형은 하천이나 해안에서 물의 흐름으로 인해 바위 → 돌멩이 → 모래의 순서로 쪼개지면서 긴 시간 동안 생성되는 것임. 인간이 인위적으로 모래 지형을 오랜 기간 유지하는 것은 매우 어렵기 때문에 ‘창출’과 ‘복원’보다는 ‘향상’의 유형이 적합함

 

     2) 표범장지뱀 대체서식지는 꼭 필요한 경우가 아니라면 새로 만들지 않는 것이 유리함

 

표범장지뱀 대체서식지-1

 

  

표범장지뱀 대체서식지-2

 

관련 자료: [자연환경관리기술사] "대체서식지" 관련 기출문제 (tistory.com)

 

[자연환경관리기술사] "대체서식지" 관련 기출문제

자연환경관리기술사 기출문제 중 "대체서식지" 관련 문제를 정리하였습니다. [자연환경관리기술사 94회] 4대강 사업을 시행하는 과정에서 발견되어 논란이 되었던 멸종위기야생식물인 층층둥

captain-planet.tistory.com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