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습지

습지의 구성요소, 지표, 수원(Water Source)에 따른 습지 유형/종류 및 특징, 습지 종류, 고층습원과 저층습원

by 캡틴 케이 2024. 4. 20.
728x90
습지의 구성요소, 지표, 수원(Water Source)에 따른 습지 유형/종류의 구분 및 대표적 특징,
수문조건에 따른 습지의 종류, 고층습원과 저층습원 비교에 대해 정리하였습니다.

썸네일

[자연환경관리기술사 83회] 습지 구성요소 및 지표
[자연환경관리기술사 91회] 수원(Water Source)에 따른 습지유형의 구분 및 대표적 특징을 설명
[자연환경관리기술사 112회] 고층습원과 저층습원
[자연환경관리기술사 128회] 수문조건에 따른 습지의 종류

참고자료: 습지생태학, 구본학

 

1. 습지의 개념(정의, 유형)

관련 자료: 람사르협약과 습지보전법에 따른 습지의 정의 및 지정범위, 습지의 유형 (tistory.com)

 

람사르협약과 습지보전법에 따른 습지의 정의 및 지정범위, 습지의 유형

람사르협약과 습지보전법에 따른 습지의 정의 및 지정범위, 람사르습지 유형 분류(Ramsar, 2006), 국내 습지 유형 분류(내륙습지 조사지침, 2020)에 대해 정리한 내용입니다. [자연환경관리기술사 88

captain-planet.tistory.com

 

2. 습지의 구성요소 및 지표

[자연환경관리기술사 83회] 습지 구성요소 및 지표
구성요소 조건 지표
1. 습지수문 - 범람, 침수된 토양의 수문학적 특성
- 유입: 강우, 지표수, 지하수
- 유출: 증발산, 지표/지하흐름, 지하침투
- 영구적/주기적 침수, 포화
- 범람흔적
- 물에 흘러내려온 침전물
- 침전물 퇴적 및 토양 침윤(실트 흔적 포함)
- 씻겨 내려갔거나 노출된 지역
- 습지 배수 패턴(지표수의 운동 특성)
- 나무의 줄기에 이끼류 등의 흔적 형성
- 수목의 형태적 적응(습지식생 특성)
- 물에 침수되었거나 씻겨 내려간 흔적
- 물 때가 든 잎
- 현장에서 확인 가능한 습지 토양
2. 습윤토양 - 배수 불량, 혐기성 환경
- 오랫동안 규칙적/지속적 침수, 범람
- 썩은 달걀냄새
- 회색/검은색 토양
- 지표면에 물이 흐른 흔적
- 토성 및 토양경도
- 산화된 뿌리혹
3. 습지식생 - 습지수문, 습윤토양 적응 식생
- 혐기성 환경 적응 위한 생존전략
- 줄기 비대
- 뿌리, 줄기 빈 공간 공기 채워짐
- 다간, 천근성, 부정의 뿌리형태
- 물 속 발아
- 뿌리 재생
- 뿌리 지나치게 신장됨
- 습지식생 출현

 

3. 수원(Water Source)에 따른 습지유형, 특징

[자연환경관리기술사 91회] 수원(Water Source)에 따른 습지유형의 구분 및 대표적 특징을 설명
수원에 따른 습지유형 특징
강우형 1) 주로 빗물 의존 발달, 하천/지하수의 원천
2) 강수는 비/눈/우박/기타 물의 형태로 하늘에서 떨어지는 모든 것 포함, 습지에 직접 떨어지거나 습지 유역에서 지표 및 지하의 흐름으로 유입 → 증발산, 표면 유수, 지하 유출, 지하수 침투, 주기적 변동 등 이유로 소멸
3) Bogs, Pocosins, Vernal Pools, Playas, Praire Potholes, Wet Meadows, Wet Prairies 등
지표수형 1) 물과 영양물질과 침전물 등을 제거하고 저장하며 조금씩 방출
2) 지표수는 하천, 홍수 범람, 지하수 분출, 조수 등에 의해 발생
3) Marshes, Riparian Forested Wetlands, Tidal Freshwater Marshes, Tidal Salt Marshes 등
지하수형 1) 지하수 의존 발달
2) 지하수는 강수 침투, 지표수 침투에 의해 유지
3) Fen 등

 

4. 수문조건에 따른 습지의 종류 - 강우형 습지

[자연환경관리기술사 128회] 수문조건에 따른 습지의 종류

 

     1) 산성 이탄습지(Bog), 고층습원

          - 물에 침수된 이탄지
          -  기상 현상으로 인해 이탄의 축적이 분해보다 빠르게 진행되어 생성
          -  스펀지처럼 물을 머금고 있는 이탄층, 산성의 물, 두텁게 덮인 물이끼층
          -  물이끼류, 식충식물 등 독특한 식물 생육
          -  식물이 죽어 분해되지 못하고 이탄층 퇴적되어 발생
          -  이탄, 물이끼 등이 빗물 저장 기능
          -  매트처럼 생성된 물이끼층 의해 주변 교목 및 관목 식생과 이탄층 분리
          -  지표수/지하수 유입이 거의 없어 영양염류/유기물질 공급 없으므로 생산성, 분해능 매우 낮다.
          -  물이끼 등 우점종이 수소이온 방출, 이탄층에서 유기산 방출되어 pH 3~4 정도의 산성
          -  빈영양과 산성 수문 환경에 적응된 독특한 식물상 형성

     2) Pocosin
          - Bog와 유사한 개념, 교목과 관목이 빽빽하게 들어선 습지
          - 항상 물 고여 있지 않으나 연중 상당 기간 동안 지면 바로 아래 얕은 곳에서 지하수 유지되고 있어

            지속적 영향 받는다.
     3) Vernal Pool
          - 겨울과 초봄에 일시적으로 강우량이 증발산/침투량보다 많은 지역에서 자연적으로 발생하는 작고 얕은 함몰지

          - 일종의 Marsh형 담수습지와 유사한 기능 갖는 습지이나, 지표수 유입보다 강우에 의해 발달되어 Marsh와 구분

          - 배수 불량한 토양, 봄철 일시적으로 유출 억제하여 습지 환경 조성

          - 봄철 양서류, 물새들에게 매우 중요한 서식 환경 제공

          - 건기에는 종자나 알의 형태로 생물 생존

     4) Playa

          - 건조지대에서 나타나는 독특한 Marsh형 습지

     5) Praire Pothole

          - 빙하의 작용으로 발생한 Marsh형 얕은 못

          - 함몰지 발달, 주변 토지로부터 유입수를 받기도 하지만 주로 강우로 인해 수위가 계절에 따라 변하며, 

            상당기간 건조 상태로 유지된다.

     6) 습초지(Wet Meadow) 

          - 강우 이후 습한 토양에 발생되는 초지 습지

          - 초본류와 사초류 우점

     7) Wet Prairie

          - 수문학적으로 Marsh와 Wet Meadow의 중간 단계

          - 정체수가 짧은 기간 유지되나 Marsh보다 빈도가 높다.

          - 간헐적으로 하천 유입에 의해 물이 공급되기도 한다.

          - 건조기 건조 상태, 배수 불량 토양

          - 관목류, 정수식물 정착에 부적합한 수문환경

 

5. 수문조건에 따른 습지의 종류 - 지표수형 습지

     1) Marsh, 저습지

          - 대표적 지표수 의존 습지, 가장 물의 영향을 많이 받는 습지

          - 생물종다양성 높게 유지되는 습지, 물새/소형동물의 서식처 제공

          - 하천/호수 주의 등 지표수 의해 침수되어 있거나 주기적으로 범람하는 저지대 발달

          - 물이 주기적/지속적 침수

          - 대부분 하천, 표면 유출수, 홍수시 월류 등 지표수로부터 공급, 때로는 지하수 유입 받기도 한다.

          - 주로 정수식물 우점, 통기조직 발달하여 혐기성 토양에 형태적/생리적 적응

          - 표면수에 의해 빠른 속도로 유기물 축적되어 유기물 함량 높고, 중성에 가까우며,

          - 물의 흐름과 영양물질의 유입으로 인한 이탄의 발달이 억제되고 식생 발달되어 종다양도가 높다.

          - 염습지, 기수습지, 담수습지, 때로는 Praire Pothole 도 포함되기도 함

          - 조수 영향 받지 않는 Nontidal Marsh: Freshwater Marsh, Praire Pothole, Playa Lake, Vernal Pool, Wet Meadow

          - 조수 영향 받는 습지: 일부 Freshwater Marsh, Brackish, Saline Marsh 등

     2) Riparian Wetland

          - 지표수 의해 유지

          - 호수, 하천 따라 발생하여 홍수기에 범람하는 선형습지로서 때로 Marsh로 분류되기도 한다.

          - 정수/유수에 의해 영구적/일시적으로 지표수/지하수 영향을 받은 식물군락이 형성되는 지역

          - 겨울/봄에는 전적으로 지표수에 의존하며, 때로 상당부분 지하수의 영향을 받기도 한다.

          - 생산성이 높은 생태계, 홍수기 동안 상류로부터 많은 물과 영양물질 유입된다.

          - 하류부에 미치는 홍수가 빈번하게 비교적 대규모로 발생하며,

          - 농업적 이용이나 시가화 용지로 자주 개발되곤 한다.

     3) Swamp, 소택지

          - 목본류 우점 습지

          - 연중 대부분의 기간 동안 하천 등으로부터 물이 계절적으로 유입, 침수

          - 영구적/반영구적 범람습지

          - Marsh형 습지와 육상식생대의 전이지역, 유기질 토양 두텁게 발달하여 수환경 적응도 높은 식물들 우점

          - 입지 조건에 따라 Freshwater Swamp, Saltwater Swamp로 분류

          - 숲의 형태에 따라 관목우점 및 교목우점 등으로 세분할 수 있다.

          - 한대/아한대의 타이가 숲, 열대/아열대의 맹그로브 숲

          - 가장 수문 환경이 열악한 습지

          - 개발에 민감하며 훼손될 경우 보상 전략 쉽지 않다.

          - 습지에서 육상생태계로 천이되는 중간 과정, 수문 조건의 변화에 예민

          - 유입량이 많을 경우 Marsh 형태, 유출량이 많을 경우 빠르게 육화가 진행된다.

 

6. 수문조건에 따른 습지의 종류 - 지하수형 습지

     1) Fen, 저층습원          

         - Bog와 유사하게 이탄층 발달 습지이나, 지하수 의해 발달되기 때문에 산성이 아니라는 점에서 Bog와 다르다.
         - Bog에 비해 영양물질 풍부, 동식물 종다양도가 높다.
         - 이끼류가 적고 사초류나 골풀류 및 야생화 등 초본류 우점 습지인 건생초지 형태가 많다.
         - 대체로 기온이 낮고 성장기가 짧은 지역에 발달
         - 지하수 유입으로 연중 수위가 고르게 유지
         - 지하수가 지표로 유출되는 낮은 지역이나 경사지에 이탄층이 축적되어 발생
         - 지하수에 포함된 탄산칼슘 등 무기염류의 영향으로 중성 또는 약알칼리성 유지
         - 이탄층이 발달하면서 지하수 유입이 억제되고 점차 강우 의존도가 높은 Bog로 천이 되는 경향 있다.

 

7. 고층습원과 저층습원

[자연환경관리기술사 112회] 고층습원과 저층습원
구분 저층습원 고층습원
개념 저층습원 → 중층(중간)습원 → 고층습원
․ 평지/산지의 호수, 하천의 우각호 등
  육화 과정에서 발달 습원
․ Fen
․ 저온다습 평지나 온대의 고산대 생성 습원
․ Bog
수원 지하수형 강우형
특징 부영양
중성/약알칼리성
이탄습지
빈양영
산성
이탄습지
주요 식물상 사초류, 골풀류 등 건생초지 물이끼류, 식충식물
대표 사례지 ․ 우포늪
․ 고창 운곡습지
․ 대암산용늪
․ 제주 숨은물뱅듸

 

<관련 자료>

람사르협약과 습지보전법에 따른 습지의 정의 및 지정범위, 습지의 유형 (tistory.com)

 

람사르협약과 습지보전법에 따른 습지의 정의 및 지정범위, 습지의 유형

람사르협약과 습지보전법에 따른 습지의 정의 및 지정범위, 람사르습지 유형 분류(Ramsar, 2006), 국내 습지 유형 분류(내륙습지 조사지침, 2020)에 대해 정리한 내용입니다. [자연환경관리기술사 88

captain-planet.tistory.com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