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도시바람길숲의 구성요소와 조성 방식에 대해 정리하였습니다.
[자연환경관리기술사 88회] 정주공간에서 바람길의 가치를 논하고 바람길을 확보하는 주요기법을 설명하시오.
[자연환경관리기술사 134회] 도시숲 조성과 관련하여 다음을 설명하시오.
1) 식물생리학적 측면에서 미세먼지 및 도시열섬 감소 효과
2) 바람길 숲 조성을 위한 과정
참고 자료: 기후대응 도시숲 등 조성·관리 현장 실무가이드, 2024. 6, 산림청
도시숲등 사업 현장 실무가이드[미세먼지 차단숲등], 2020. 8, 산림청
1. 도시바람길숲 구성요소
1) 생성숲 | 야간에 찬공기가 생성되어 정화된 찬바람이 부는 숲으로 도시외곽의 산림 및 녹지를 의미하며, 도시 내·외곽 산림지역이 이에 해당 |
2) 연결숲 | 바람생성숲에서 만들어진 찬공기가 도심 내부까지 흐를 수 있도록 하는 연결통로로서 녹지를 의미함 |
3) 디딤·확산숲 | 기온차를 통한 미풍생성 역할을 하는 도시 내 거점숲으로 도시내 면적 녹지를 의미하며, 도심내 산림, 공원, 학교숲 등이 이에 해당 |
2. 도시바람길숲 구성요소별 조성방식
생성 (생성숲) |
- 차고 신선한 바람이 생성되도록 숲 조성 - 숲이 건강하게 자라고, 최적의 기능을 발휘할 수 있도록 숲 관리방안 수립 및 관리체계 구축 |
이동 (연결숲) |
- 생성된 찬바람이 가로변, 하천 등을 따라 도시 내부로 유입되도록 바람통로 확보 - 주요 도로가 바람통로의 기능을 발휘할 수 있도록 가로녹지(가로수 등) 확충 |
확산 (디딤·확산숲) |
- 도시 내부 건물 사이 공간은 가급적 넓은 녹지공간으로 조성 - 학교숲 조성, 옥상녹화, 벽면녹화 등을 통한 미세먼지 저감 효과 제고 |
3. 바람길숲 조성을 위한 과정
1) 미기상 분석 | 대상지역에서 연평균 풍속, 풍향을 모니터링하여 주풍 방향을 분석하고, 폭염·혹서·대기 정체역을 분석하여, 공간(핵심관리지역, 완충지역, 핵심보전지역) 도출 |
2) 찬바람 유입 유도 | 도시 내·외곽 산림의 찬바람 유입숲(핵심보전지역)을 위한 효율적 조성·관리 방안을 도출하고, 기존 도시숲의 자연적 천이과정과 수계 등 블루인프라와의 연계를 고려 - 도시 외곽 산림에서 생성된 찬바람을 도심으로 유도할 수 있는 숲 조성·관리 추진 |
3) 오픈스페이스, 통풍숲 조성·관리 | 도시의 숲과 오픈스페이스의 상호작용을 통해 수평적 소규모 대기순환이 이루어져 대기정체를 해소할 수 있도록 조성·관리 |
4) 통풍숲, 통로숲으로 가로수 역할 증대 | 수관층(canopy)을 극대화하여 그늘을 만들고, 하층 최소 3m는 식생을 제거하여, 수직적 대규모 대기순환이 나타나 대기정체를 해소할 수 있도록 조성·관리 |
4. 도시숲 식재 수목의 규격, 수량 가중치
5. 도시바람길숲 수목 식재 밀도(교목 기준)
관련 자료: 도시숲등의 유형별 정의/개념, 기능, 도시숲 조성사업의 종류 (tistory.com)
도시숲등의 유형별 정의/개념, 기능, 도시숲 조성사업의 종류
도시숲등의 유형별 정의/개념, 기능, 도시숲 조성사업의 종류 그리고도시숲 조성 사업별 사업목적 및 주요 고려사항, 식재수종 선정을 위한 고려사항, 수목 식재 밀도, 도입 가능 시설, 식재·식
captain-planet.tistory.com
728x90
'생태복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수목의 기온저감 효과, 주요 수종별 탄소흡수량 비교 (0) | 2024.07.18 |
---|---|
미세먼지 저감 우수 수종, 미세먼지 저감 원리/메커니즘 (6) | 2024.07.14 |
도시숲등의 유형별 정의/개념, 기능, 도시숲 조성사업의 종류 (1) | 2024.07.12 |
자연환경복원사업 범위, 추진절차, 사업계획 수립 (0) | 2024.07.07 |
자연환경복원사업 목표유형 (0) | 2024.07.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