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도시숲등의 유형별 정의/개념, 기능, 도시숲 조성사업의 종류
그리고
도시숲 조성 사업별 사업목적 및 주요 고려사항, 식재수종 선정을 위한 고려사항, 수목 식재 밀도, 도입 가능 시설, 식재·식재기반 조성 및 시설물 설치 비율에 대해 정리하였습니다.
[자연환경관리기술사 77회] 도시숲의 개념과 유형, 필요성에 대해 설명하고, 도시림을 효과적으로 복원 및 관리하기 위한 방안에 대하여 설명
[자연환경관리기술사 116회] 도시숲의 개념, 기능과 가치, 유형, 국내 조성사례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자연환경관리기술사 134회] 도시숲 조성과 관련하여 다음을 설명하시오.
1) 식물생리학적 측면에서 미세먼지 및 도시열섬 감소 효과
2) 바람길 숲 조성을 위한 과정
[조경기술사 123회] 산림청에서 도시숲 조성을 위해 「도시림기본계획」으로 추진 중인 도시숲의 개념 및 법적근거와 양적 확대방안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조경기술사 126회] 「도시숲 등의 조성 및 관리에 관한 법률」에서 도시숲등의 유형별 정의
[조경기술사 127회] 도시숲의 1) 개념, 2) 유형분류, 3) 관리의 한계, 4) 활성화 방안을 설명하시오.
[조경기술사 129회] 미세먼지 저감을 위한 도시숲의 종류를 열거하고 식재모델을 설명하시오.
참고 자료: 기후대응 도시숲 등 조성·관리 현장 실무가이드, 2024. 6, 산림청
산림청 - 정보공개 > 통합자료실 > 통합자료실 > [도시숲] 기후대응 도시숲 등 조성ㆍ관리 현장 실무가이드 (forest.go.kr)
산림청 - 정보공개 > 통합자료실 > 통합자료실
산림청 - 정보공개 > 통합자료실 > 통합자료실
www.forest.go.kr
1. 도시숲등의 유형별 정의/개념
「도시숲법」 제2조(정의)
1. "도시숲"이란 도시에서 국민의 보건·휴양 증진 및 정서 함양과 체험활동 등을 위하여 조성·관리하는 산림 및 수목을 말하며, 「자연공원법」 제2조에 따른 공원구역은 제외한다.
2. "생활숲"이란 마을숲 등 생활권 및 학교와 그 주변지역에서 국민들에게 쾌적한 생활환경과 아름다운 경관의 제공 및 자연학습교육 등을 위하여 조성·관리하는 다음 각 목의 산림 및 수목을 말한다.
3. "가로수"란 도로(고속국도는 제외)의 보행자전용도로, 자전거전용도로, 면도 및 리도 등 도로의 도로구역 안 또는 그 주변지역에 조성·관리하는 수목을 말한다.
가. 마을숲 산림문화의 보전과 지역주민의 생활환경 개선 등을 위하여 마을 주변에 조성·관리하는 산림 및 수목 나. 경관숲 우수한 산림의 경관자원 보존과 자연학습교육 등을 위하여 조성·관리하는 산림 및 수목 다. 학교숲 학교와 그 주변지역에서 학습환경 개선과 자연학습교육 등을 위하여 조성·관리하는 산림 및 수목
2. 도시숲의 기능
도시숲 7대 기능 「도시숲법 시행규칙」 제3조(도시숲등의 기능 구분) |
|
1) 기후보호형 도시숲등 | 폭염·도시열섬 등 기후 여건을 개선하고 깨끗한 공기를 순환·유도하는 기능을 가진 도시숲등 |
2) 경관보호형 도시숲등 | 심리적 안정감과 시각적인 풍요로움을 주는 등 자연경관의 감상·보호 기능을 가진 도시숲등 |
3) 재해방지형 도시숲등 | 홍수·산사태 등 자연재해를 방지하거나 소음·매연 등 공해를 완화하여 국민의 안전을 지키는 기능을 가진 도시숲등 |
4) 역사·문화형 도시숲등 | 문화재 또는 사찰·사당 등 종교적 장소와 전통마을 주변에 조성·관리하여 역사를 보존하고 문화를 진흥하는 기능을 가진 도시숲등 |
5) 휴양·복지형 도시숲등 | 체험·놀이·학습을 통한 교육과 산림욕·산림치유 등 휴양·치유 등의 기능을 가진 도시숲등 |
6) 미세먼지 저감형 도시숲등 | 미세먼지 발생원으로부터 생활권으로 유입되는 미세먼지 등 오염물질을 차단하거나 흡수·침강 등의 방법으로 저감하는 기능을 가진 도시숲등 |
7) 생태계 보전형 도시숲등 | 생태계를 보전·복원하고 생태계가 서로 연결되도록 하는 등 생태계와 조화를 이루는 기능을 가진 도시숲등 |
* 도시숲등의 기능 구분에 따른 관리방법은 「도시숲·생활숲·가로수 조성·관리 기준」에 따른다.
3. 도시숲 조성사업의 종류
* 도시숲 조성사업의 정의
"도시숲 조성사업"이란 도시지역 또는 생활권·학교 및 그 주변과 도로구역 등에 탄소중립(탄소흡수), 미세먼지 저감, 열섬·폭염 완화, 생태계·경관 보전 및 휴양·체험·교육 등을 목적으로 단목 또는 집단적으로 수목을 식재하거나 시설물 등을 설치하는 사업
도시숲등 산림사업으로 사업계획이 수립되어 있어야 하며, 산림사업 예산으로 편성되어 시행하는 경우 도시숲등 사업으로 정의
국가 직접사업 및 지자체 보조사업(국비 지원) | |
1) 국유지 도시숲 | · 생활권 주변 국유지를 활용하여 탄소중립 실현 및 미세먼지 저감 등 도시민 생활환경 개선과 삶의 질 향상에 기여하기 위해 조성하는 도시숲 |
2) 기후대응 도시숲 | · 도시열섬 및 폭염 완화, 탄소 흡수, 미세먼지 저감 등 기후위기 대응을 위해 도심내 생활권 및 도시 주변지역에 조성하는 도시숲 - 미세먼지 저감숲: 미세먼지 발생원 주변 및 생활권에 미세먼지 저감을 위한 숲 조성 - 도시열섬 완화숲: 도심내 고온지역 및 포장공간(도로, 광장 등)을 활용한 숲 조성 - 도시 탄소저장숲: 도심내 대규모 유휴지 숲 조성을 통한 탄소흡수원 확충을 위한 숲 조성 |
3) 도시 바람길숲 | · 도심의 미세먼지 저감 및 열섬현상 완화를 위해 '도시 내·외곽 산림에서 생성되는 찬공기를 도심으로 유도·확산할 수 있도록 조성하는 도시숲 - 생성숲: 도시외곽의 대규모 산림 등으로 숲의 산소 발생, 온도 저감, 미세먼지 저감 등을 통해 맑고 신선한 공기를 생성하는 역할 - 연결숲: 도시외곽 산림에서 생성된 맑고 신선한 공기가 도시 내부로 원활하게 유입될 수 있도록 하는 바람의 통로 역할 - 디딤·확산숲: 도시 내부에 조성된 숲으로 소규모 찬공기를 생성하거나 도시 내부로 유입된 찬공기의 원활한 이동을 지원하는 역할 |
4) 자녀안심 그린숲 | · 도심내 탄소흡수원 확충에 기여하고 교통안전, 미세먼지와 폭염에 취약한 학생들에게 건강하고 안전한 통학환경 및 체험의 장 제공을 위해 어린이보호구역 및 주변에 조성하는 도시숲 |
지자체 자체사업(자체 추진) | ||
1) 지자체 도시숲 | · 생활권 주변 도시숲 조성을 통해 도시민의 생활환경 개선 및 삶의 질 향상에 기여 - 녹색쌈지숲: 주민들의 정서함양 등을 위하여 건물 사이의 자투리 땅에 조성하는 숲 - 생활환경숲: 공단, 주요병원, 요양소 등의 건축물(옥상·벽면녹화)과 그 주변 지역, 폐기물 및 쓰레기 매립지, 하천·제방부지 등과 그 주변 지역으로서 생활환경의 보호·유지와 보건위생을 위해 조성하는 숲 - 산림공원: 도시지역의 방치되어 있는 유휴지 또는 도시 내 국·공유지의 산림에 조성하는 숲 |
|
생활숲 | 2) 마을숲 | - |
3) 경관숲 | - | |
4) 학교숲 | - | |
가로수 | - |
* 마을숲, 경관숲, 학교숲, 가로수의 내용은 "1. 도시숲등의 유형별 정의/개념" 참조, 중복되어 생략함.
4. 도시숲 조성 사업별 사업목적 및 주요 고려사항
5. 도시숲 조성 사업별 식재수종 선정을 위한 고려사항
6. 도시숲 유형별 수목 식재 밀도(교목 기준)
7. 도시숲 내 도입 가능 시설
8. 도시숲 유형별 식재·식재기반 조성 및 시설물 설치 비율
728x90
'생태복원' 카테고리의 다른 글
미세먼지 저감 우수 수종, 미세먼지 저감 원리/메커니즘 (6) | 2024.07.14 |
---|---|
도시바람길숲의 구성요소와 조성 방식 (0) | 2024.07.13 |
자연환경복원사업 범위, 추진절차, 사업계획 수립 (0) | 2024.07.07 |
자연환경복원사업 목표유형 (0) | 2024.07.06 |
자연환경보전의 기본원칙, 자연환경복원의 기본원칙 (0) | 2024.07.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