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국제 동향, 환경문제, 환경정책24

10-20-30 원칙, 3-30-300 규칙 생물다양성 및 도시그늘 증진 위한 10-20-30 원칙, 3-30-300 규칙에 대해 정리하였습니다.[자연환경관리기술사 133회] 10-20-30 식재 원칙[자연환경관리기술사 134회] 도시의 생물다양성 증진을 위한 식재식물 관리방안참고 자료: (보도자료) 생태·환경기능 향상을 위한 도시녹지 관리 개선안 제시, 환경부, 2023. 03.                  도시생태축 복원사업 가이드라인, 환경부, 2023. 07. Ⅰ. 도시 내 녹지관리 개선방안     1. 생물다양성·도시그늘 증진 위한 대원칙 적용 권고          1) 식물종 선정 시, 생물다양성을 위한 10-20-30 원칙          2) 도시나무그늘 확충 위해 3-30-300 규칙      2. 생물다양성이 고려되도록, 도심 .. 2024. 5. 21.
CITES(멸종위기 야생동식물종의 국제거래에 관한 협약) CITES(멸종위기 야생동식물종의 국제거래에 관한 협약)란 멸종위기종의 국가 간 수출입 인허가 협약, CITES의 개념, 목적, 부속서 분류 기준, CITES종 및 국내 멸종위기종의 분류 기준 비교 설명에 대해 정리하였습니다. [자연환경관리기술사 122회] 멸종위기에 처한 야생동·식물종의 국제거래에 관한 협약(CITES)[자연환경관리기술사 130회] CITES 협약 부속서 분류[환경영향평가사 4회] ‘멸종위기에 처한 야생 동·식물종의 국제거래에 관한 협약’(CITES)의 목적, 국제적 멸종위기종(CITES종) 및 국내 멸종위기종의 분류기준을 비교·설명하시오. CITES(멸종위기 야생동식물종의 국제거래에 관한 협약)      1. 개념         1) 멸종위기 야생동식물종의 국제거래에 관한 협약    .. 2024. 5. 1.
식물재배정화법(Phytoremediation), 환경정화수종, 자연저감법 식물재배정화법(Phytoremediation), 환경정화수종, 자연저감법에 대해 정리하였습니다.[자연환경관리기술사 83회] 식물정화(Phyto-Remediation)의 정의[자연환경관리기술사 110회] 식생과 식물을 이용한 오염된 토양의 복원방안에 대하여 설명하시오.[조경기술사 85회] 식물을 이용하여 중금속으로 오염된 토양을 정화하는 식물재배정화법(Phytoremediation)에 대하여 설명하고, 적용 시 고려사항을 설명하시오.[조경기술사 100회] 환경정화수종[조경기술사 105회] 중금속으로 오염된 토양을 정화하기 위한 식물재배 정화법(Phytoremediation)Ⅰ. 식물재배정화법(Phytoremediation)     1. 개념          1) 식물 재배/이용하여 오염물질 흡수, 분해 처.. 2024. 4. 30.
생물학적 복원처리기법(Bioremediation), 미생물촉진법(Biostimulation), 미생물첨가법(Bioaugmentation) 생물학적 복원처리기법(Bioremediation), 미생물촉진법(Biostimulation), 미생물첨가법(Bioaugmentation), 토양오염 저감을 위한 미생물 이용시 고려사항에 대해 정리하였습니다.[자연환경관리기술사 86회] 오염환경의 생물학적 복원처리기법(Bioremediation) 중 생물촉진(Biostimulation)과 생물첨가(Bioaugmentation)법을 각각 정의하고 각 방법이 적용될 수 있는 조건[자연환경관리기술사 118회] 생물복원 방법 중 생물촉진(Biostimulation)과 생물첨가(Bioaugmentation)[자연환경관리기술사 115회] 토양오염을 저감하기 위해 미생물을 이용할 때 고려되어야 할 사항을 설명하시오.[조경기술사 108회] 오염토양 정화기술방법으로서의 토.. 2024. 4. 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