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국제 동향, 환경문제, 환경정책

생물학적 복원처리기법(Bioremediation), 미생물촉진법(Biostimulation), 미생물첨가법(Bioaugmentation)

by 캡틴 케이 2024. 4. 29.
728x90
생물학적 복원처리기법(Bioremediation), 미생물촉진법(Biostimulation), 미생물첨가법(Bioaugmentation), 토양오염 저감을 위한 미생물 이용시 고려사항에 대해 정리하였습니다.

[자연환경관리기술사 86회] 오염환경의 생물학적 복원처리기법(Bioremediation) 중 생물촉진(Biostimulation)과 생물첨가(Bioaugmentation)법을 각각 정의하고 각 방법이 적용될 수 있는 조건
[자연환경관리기술사 118회] 생물복원 방법 중 생물촉진(Biostimulation)과 생물첨가(Bioaugmentation)
[자연환경관리기술사 115회] 토양오염을 저감하기 위해 미생물을 이용할 때 고려되어야 할 사항을 설명하시오.

[조경기술사 108회] 오염토양 정화기술방법으로서의 토양경작법(landfatming)

 

생물학적 복원처리기법(Bioremediation)

     1. 개념

          1) 미생물 이용하여 오염물질 흡수, 분해 처리 기법

          2) 저농도 오염물질, 광범위 오염지역에 효과적

          3) 경제적·친환경적이나 처리기간 길고 환경변화에 민감 

     2. 유형

미생물촉진법
(Biostimulation)
- 생존 조건 최적화하여 미생물 활동 촉진
- 광범위한 토양오염에 효과적
1) 미생물 생육 조건 조성: 빈영양환경에 N, P 첨가, 산소 공급 등
2) 오염물질 흡수·분해 → 무해한 물질로 안정화
생분해
(Biodegradation)
in-situ
(포화대)
- 자생미생물 활성 증진
  : 영양분, 수분 등 주입
생물환기
(Bioventing)
in-situ
(불포화대)
- 공기 주입 → 산소 증가
   → 미생물 생분해능 증대
토양경작
(Landfarming)
ex-situ - 호기성 생분해 공정
- 오염토양 굴착 후 지표면 깔아놓고
  정기적 교반
퇴비화
(Composting)
ex-situ - 오염토양 굴착 후
  팽화제(유기물질) 혼합하여 토양 안정화
- 토양개량제로 활용
바이오파일
(Biopile)
ex-situ - 굴착 후 piles 쌓은 후
  배관 통해 공기와 영양분 주입,
  수분 함량 조절 → 미생물 활성 촉진
미생물첨가법
(Bioaugmentation)
- 오염지역 자생미생물(버크홀데리아, 슈도모나스) 배양 후 투입
- 난분해성 오염, 광범위한 수질오염에 효과적

 

     3. 토양오염 저감을 위한 미생물 이용시 고려사항

          1) 미생물 생육 적합한 처리공법 선정

              - 오염물질 종류, 농도

              - 함수율 등 토양 특성

              - 오염범위 고려

           2) 미생물 생육 조건 고려

              - 물리적 환경인자: pH, 온도, 수분 등

              - 화학적 환경인자: C:N:P, 총유기탄소, 산화환원전위 등

              - 생물학적 환경인자: 미생물 수 측정, 미생물 독성 실험 등

           3) 미생물 처리 후 생태계 교란 영향

              - 독성미생물 출현, 변이에 의한 생태계 교란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