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연환경관리기술사 116회] UNESCO MAB(생물권 보전지역)의 내용, 평가기준, 허용행위 [자연환경관리기술사 77회] 생물권보전지역의 3대 기능 설명, 또한 유네스코의 인간과 생물권(UNESCO MAB)에서 제시한 동 지역의 관리를 위한 세가지 구획과 각 지역의 구획목적 기술
[환경영향평가사 7회] UNESCO의 MAB(Man and the Biosphere Programme) 이론에서 정하고 있는 지역구분의 종류 및 내용
[조경기술사 69회] UNESCO(United Education Scientific and Cultural Organization)의 인간과 생물권(Man and Biosphere)계획에서 설정한 생태계의 중요한 지역을 구분한 방식과 관리방향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조경기술사 63회] 접경생물권보전지역
0. 인간과 생물권 사업(MAB: Man and the Biosphere Programme)
1) 인간과 생물권은 인간과 환경의 관계를 지구적으로 개선하기 위한 다학문적인 연구와 능력배양을 추진하고 있는
UNESCO의 정부간 과학 프로그램 중 하나
2) 자연의 경고에 대한 경각심을 갖고 인간과 생물권 사업(MAB)을 시작했음.
3) 자연보전 뿐만 아니라 그 곳에 살고 있는 사람까지 고려하는 '생물권'이라는 용어를 국제사회에 처음 도입했음.
1. 생물권보전지역 개념
1) 생물권보전지역이란 전 세계적으로 뛰어난 생태계 대상으로 UNESCO가 지정한 육상․연안․해양생태계
2) 생물다양성 보전 및 지속가능한 발전 위한 학술지역
2. 생물권보전지역의 평가기준/지정기준
1) 생물다양성 보전 중요지역
2) 주요 생물지리학적 지역 포함
3) 지속가능발전 위한 정책․계획 제시
4) 보전, 발전, 지원 기능 수행 위해 적절한 규모
5) 핵심, 완충, 전이/협력 지역 설정
6) 지역주민의 삶의 질 제고
7) 교육, 조사, 연구의 장 제공
3. 생물권보전지역의 3대 기능
1) 보전 기능
· 생물다양성과 생태계 보전
· 경관, 생태계, 종, 유전적 변이 보전
2) 발전 기능
· 사회․문화적, 생태적으로 지속 가능한 발전
3) 지원 기능
· 보전과 발전 수행 위한 지원
· 시범사업, 환경교육, 연구 및 모니터링
4. 세가지 구획과 각 지역의 구획목적, 지역구분의 종류 및 내용
1) 핵심 지역(Core Area): 엄격한 보전지역
2) 완충 지역(Buffer Zone): 핵심지역의 완충 역할
3) 전이/협력 지역(Transition Area): 다양한 이해집단 공존
5. UNESCO MAB(생물권보전지역)의 허용행위, 지역을 구분한 방식과 관리방향
구분
허용행위
핵심 지역
․ 생물다양성 보전과 간섭 최소화한 모니터링 ․ 파괴적이지 않는 조사 연구 ․ 영향이 적은 이용(교육 등)
완충 지역
․ 건전한 생태적 활동, 적합한 협력 활동 이용 ․ 생태관광, 환경교육, 레크리에이션, 연구 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