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국제 동향, 환경문제, 환경정책

UNESCO MAB, 생물권보전지역, 3대 기능, 3가지 구획, 허용행위, 지정 현황

by 캡틴 케이 2024. 4. 13.
728x90
UNESCCO MAB 생물권보전지역의 개념, 평가기준/지정기준, 3대 기능, 3가지 구획, 허용행위/관리방향, 지정 현황에 대한 관련 기출문제 및 내용을 정리하였습니다.

2024년 7월 5일 "창녕 생물권보전지역"이 추가되었습니다.

 

관련 자료: 창녕 생물권보전지역 (tistory.com)

 

창녕 생물권보전지역

창녕군 전역(530.51㎢)이 "창녕 생물권보전지역"으로 지정되었습니다. 참고 자료: [보도자료] 창녕군 전역, 유네스코 생물권보전지역으로 지정, 2024. 07. 07, 환경부 관련 자료: UNESCO MAB, 생물권보전

captain-planet.tistory.com

 

썸네일

 

[자연환경관리기술사 116회] UNESCO MAB(생물권 보전지역)의 내용, 평가기준, 허용행위
[자연환경관리기술사 77회] 생물권보전지역의 3대 기능 설명, 또한 유네스코의 인간과 생물권(UNESCO MAB)에서 제시한 동 지역의 관리를 위한 세가지 구획과 각 지역의 구획목적 기술

[환경영향평가사 7회]  UNESCO의 MAB(Man and the Biosphere Programme) 이론에서 정하고 있는 지역구분의 종류 및 내용

[조경기술사 69회] UNESCO(United Education Scientific and Cultural Organization)의 인간과 생물권(Man and Biosphere)계획에서 설정한 생태계의 중요한 지역을 구분한 방식과 관리방향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조경기술사 63회] 접경생물권보전지역

 

0. 인간과 생물권 사업(MAB: Man and the Biosphere Programme)

     1) 인간과 생물권은 인간과 환경의 관계를 지구적으로 개선하기 위한 다학문적인 연구와 능력배양을 추진하고 있는

         UNESCO의 정부간 과학 프로그램 중 하나

     2) 자연의 경고에 대한 경각심을 갖고 인간과 생물권 사업(MAB)을 시작했음.

     3) 자연보전 뿐만 아니라 그 곳에 살고 있는 사람까지 고려하는 '생물권'이라는 용어를 국제사회에 처음 도입했음.

 

1. 생물권보전지역 개념

     1) 생물권보전지역이란 전 세계적으로 뛰어난 생태계 대상으로 UNESCO가 지정한 육상․연안․해양생태계

     2) 생물다양성 보전 및 지속가능한 발전 위한 학술지역

 

2. 생물권보전지역의 평가기준/지정기준

     1) 생물다양성 보전 중요지역

     2) 주요 생물지리학적 지역 포함

     3) 지속가능발전 위한 정책․계획 제시

     4) 보전, 발전, 지원 기능 수행 위해 적절한 규모

     5) 핵심, 완충, 전이/협력 지역 설정

     6) 지역주민의 삶의 질 제고

     7) 교육, 조사, 연구의 장 제공

 

3. 생물권보전지역의 3대 기능

     1) 보전 기능

          · 생물다양성과 생태계 보전

          · 경관, 생태계, 종, 유전적 변이 보전

     2) 발전 기능

          · 사회․문화적, 생태적으로 지속 가능한 발전

     3) 지원 기능

          · 보전과 발전 수행 위한 지원

          · 시범사업, 환경교육, 연구 및 모니터링

 

4. 세가지 구획과 각 지역의 구획목적, 지역구분의 종류 및 내용

     1) 핵심 지역(Core Area): 엄격한 보전지역

     2) 완충 지역(Buffer Zone): 핵심지역의 완충 역할

     3) 전이/협력 지역(Transition Area): 다양한 이해집단 공존

 

5. UNESCO MAB(생물권보전지역)의 허용행위, 지역을 구분한 방식과 관리방향

구분 허용행위
핵심 지역 ․ 생물다양성 보전과 간섭 최소화한 모니터링
․ 파괴적이지 않는 조사 연구
․ 영향이 적은 이용(교육 등)
완충 지역 ․ 건전한 생태적 활동, 적합한 협력 활동 이용
․ 생태관광, 환경교육, 레크리에이션, 연구 등
전이/협력 지역 ․ 지속가능한 개발, 지역발전 촉진 지역
․ 농업 활동, 주거지, 기타 용도

 

6. 생물권보전지역의 국내 지정 현황: 9개소 지정

     1) 설악산

     2) 제주도

     3) 신안다도해

     4) 광릉숲

     5) 고창

     6) 순천

     7) 강원생태평화

     8) 연천임진강

     9) 완도

 

7. 접경생물권보전지역(Transfrontier Biosphere Reserve)

     1) 국가 간의 경계, 2개국 이상의 영토에서 생물권보전지역 지정

     2) 공동관리 계획 수립 필요 

 

생물권보전지역 – 한국의 유산 지도 (unesco.or.kr)

 

생물권보전지역

우리나라 2022년 기준 전세계 2022년 기준 2022년 기준 생물권보전지역(Biosphere Reserves)은 "생물다양성을 보전하면서 지속가능한 이용을 조화시킬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전 세계적으로 뛰어

map.unesco.or.kr

 

MAB 한국위원회 (unescomab.or.kr)

 

MAB 한국위원회

체계에 대한 연구, 평가, 관리의 통합적 접근, 그리고 지속가능한 자원관리를 지탱해주는 과학적이고 교육적인 활동을 계속해서 개발하는데 중점을 두고 있다. 1976년 벨로루시 민스크에서 열린

www.unescomab.or.kr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