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유산, 세계자연유산 관련 기출문제 답안지가 본문 하단에 있습니다.

[조경기술사 123회] 「세계유산협약」에 의거한 세계유산의 구분 및 등재기준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자연환경관리기술사 116회] 세계 자연유산(Natural heritage)의 등재기준 및 지정사례
1. 세계유산의 개념
1) 「세계유산협약」에 의거한 인류 전체를 위해 보호되어야 할 뛰어난 보편적 가치 지닌 유산
2) 후대에 물려주어야 할 세계적으로 가치 있는 자산
· 대체 불가한 삶과 영감의 원천
· 특정 소재지와 상관없이 모든 인류에 속하는 보편적 가치 지님.
2. 세계유산의 구분
1) 자연유산
· 자연의 기념물로서 뛰어난 보편적 가치 있는 것
· 과학․보존․미관상 가치 있는 자연지역, 자연유적지
· 생물학적 군락, 지질학적 생성물, 멸종위기종 서식지
2) 문화유산
· 기념물: 기념 조각, 회화, 건축물, 유물, 유적지로 역사․예술․학문적 뛰어난 가치 있는 유산
· 건조물군: 구조물로 역사․미술적 뛰어난 가치 유산
· 유적지: 인공 또는 인공과 자연 결합의 소산, 유적 포함한 구역에서
역사․관상․민족학․인류학상 뛰어난 가치 유산
3) 복합유산
· 문화유산과 자연유산의 특징 동시 충족하는 유산
3. 세계유산의 등재기준
구분 | 등재기준 | |
문화 유산 |
Ⅰ | 인간의 창의성으로 빚어진 걸작을 대표할 것 |
Ⅱ | 오랜 세월 걸쳐 또는 세계의 일정 문화권 내에서 건축/기술 발전, 기념물 제작, 도시 계획/조경 디자인에 있어 인간 가치의 중요한 교류 반영 |
|
Ⅲ | 현존하거나 이미 사라진 문화적 전통, 문명의 독보적, 적어도 특출한 증거일 것 | |
Ⅳ | 인류 역사의 중요한 단계를 예증하는 건조물의 유형, 건축/기술의 총체, 경관 유형의 대표적 사례일 것 |
|
Ⅴ | 특히 돌이킬 수 없는 변화의 영향으로 환경이 취약해졌을 때 환경/인간의 상호작용, 전통적 정주지 대표 사례 | |
Ⅵ | 사건이나 살아있는 전통, 사상이나 신조, 뛰어난 보편성이 탁월한 예술 및 문학 작품과 직접 또는 가시적 연관될 것 | |
모든 문화유산은 진정성(재질, 기법 등 원래 가치 보유) 필요 | ||
자연 유산 |
Ⅶ | 최상의 자연현상, 뛰어난 자연미, 미학적 중요성 지역 포함 |
Ⅷ | 생명의 기록, 지질학적 주요 진행과정, 지구역사상 주요단계 입증하는 대표적 사례 |
|
Ⅸ | 육상, 담수, 해안 및 해양 생태계와 동식물 군락의 진화 및 발전에 있어 생태학적, 생물학적 주요 진행 과정 입증하는 대표 사례 | |
Ⅹ | 생물다양성 보존 위해 중요한 자연 서식지 포괄, 보편적 가치 탁월하지만 현재 멸종위기종 포함 |
|
공통 | 완전성(integrity): 유산 가치 충분히 보여줄 수 있는 제반 요소 보유 | |
보호 및 관리체계: 법적․행정적 보호 제도, 완충지역 설정 등 |
4. 세계자연유산의 지정사례
구분 | 등재기준 | 내용 | |
제주 화산섬과 용암동굴 (2007년) |
한라산 천연보호구역 | Ⅶ(경관적 가치), Ⅷ(지질학적 가치) |
․ 지구의 화산 생성과정, 생태계 연구의 중요한 학술적 가치 ․ 아름다운 경관, 생물, 지질 - 수많은 측화산 - 세계적인 규모의 용암동굴 - 다양한 희귀생물 및 멸종위기종 서식지 |
성산일출봉 응회구 | |||
거문오름용암동굴계 - 거문오름 - 김녕굴 및 만장굴 - 벵뒤굴 - 당처물동굴 - 용천동굴 - 웃산전굴, 북오름굴, 대림굴 |
|||
한국의 갯벌 (2021년) |
서천갯벌 | Ⅹ(생물다양성) | ․ 지구 생물다양성 보전 위해 중요하고 의미 있는 서식지 - 높은 수준의 생물다양성 ․ 동아시아-대양주 철새이동경로 (EAAF)의 국제적 멸종위기 이동성 물새의 중간기착지로서 국제적 중요 지역 |
고창갯벌 | |||
신안갯벌 | |||
보성-순천갯벌 |
등재기준 – 유네스코와 유산 (unesco.or.kr)
등재기준
heritage.unesco.or.kr
국가문화유산포털 | 한국의 세계유산 (heritage.go.kr)
국가문화유산포털 | 한국의 세계유산
산사,한국의 산지승원 (2018년)
www.heritage.go.kr


'국제 동향, 환경문제, 환경정책'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동아시아-오세아니아 철새이동경로(EAAF), EAAFP (1) | 2024.04.26 |
---|---|
생물다양성 관련 국제협약의 종류 및 동 협약의 목적 (2) | 2024.04.15 |
UNESCO MAB, 생물권보전지역, 3대 기능, 3가지 구획, 허용행위, 지정 현황 (0) | 2024.04.13 |
IUCN 보호지역 카테고리/분류체계/범주 (0) | 2024.04.12 |
자연환경 관련 보호지역 종류, 국내 보호지역 현황, 지정요건/지정기준 (0) | 2024.04.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