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아시아-오세아니아 철새이동경로(EAAF)와 동아시아-대양주 철새이동경로의 이동성 물새류 보전과 서식지의 지속가능한 이용을 위한 파트너십(EAAFP)에 대해 정리하였습니다.
[자연환경관리기술사 121회] 동아시아-오세아니아 철새이동경로(EAAF)
[자연환경관리기술사 125회] EAAFP(East Asian–Australasian Flyway Partnership)
참고 자료: 습지생태학, 구본학
1. 동아시아-오세아니아 철새이동경로(EAAF)
1) 전 세계 45%의 도요물떼새, 오리기러기, 고니, 백로 및 두루미 등 이동성 물새 이동 경로
2) 국제적 멸종위기종 서식
3) 금강하구 갯벌은 넓적부리도요(위급종)가 10만 마리 이상 꾸준히 찾아오는 가장 중요한 서식
2. EAAF 위협요소
1) 사회기반시설 확충 및 그 외 지속불가능한 개발
2) 무분별한 연안습지 개발, 조간대 습지의 급격한 손실 → 도요물떼새류 큰 위협
3. EAAFP(East Asian–Australasian Flyway Partnership)
1) 동아시아-대양주 철새이동경로의 이동성 물새류 보전과 서식지의 지속가능한 이용을 위한
파트너십
2) 서식지 습지 등재 및 자매서식지 체결하여 공동연구, 인식 증진, 보전 활동, 정보 교류 등
→ 습지의 서식지 기능 극대화, 보전 노력
4. EAAFP 서식지 등재 기준
등재 기준 | 세부 기준 |
가. 이동성 물새의 서식지, 특히 국제적으로 중요한 습지에 대한 국제협약(람사르협약)의 기준 |
<기준 2> 취약종(VU), 멸종위기종(EN), 심각한 위기종(CR) 또는 위협받고 있는 생태적 군집의 생존을 지원하는 경우(IUCN 적색목록 기준) <기준 5> 습지가 통상적으로 2만 개체 이상의 물새를 지원하는 경우 <기준 6> 습지가 통상적으로 물새류의 한 종 또는 한 아종의 총 개체군 1% 이상을 부양하는 경우 |
나. 아시아-태평양 이동성 물새 보전 전략 (APMWCS) 하에서 적용된 중간 기착지 기준 |
- 기착지역이 이동성 물새류 한 종 또는 한 아종의 총 개체군의 0.25% 이상을 정기적으로 부양하는 경우 - 물새들의 이동기간 동안 한번에 5천 개체 이상의 물새를 부양하는 중간 기착지의 경우 |
다. 예외적인 경우 | 어떤 지역이 이동성 물새 개체군의 특정 생활사 단계에서 그 개체군을 부양하여 종과 개체군 유지에 중요하다고 판단되는 경우, 해당 지역을 지명한 후, 해당지역을 등재 이 경우 등재 여부는 각 사례에 따라 심사 |
5. EAAFP 등재된 우리나라 습지
1) 철원평야
2) 한강하구
3) 천수만
4) 구미해평습지
5) 순천만
6) 주남저수지
7) 우포늪
8) 낙동강하구
9) 금강하구
10) 유부도갯벌
11) 칠발도
12) 화성습지
13) 장항습지
14) 인천 송도갯벌
15) 압해도갯벌
16) 대부도갯벌
17) 태화강
18) 고창갯벌
<관련 자료>
람사르협약, 람사르습지 등록 기준, 몽트뢰 목록 (tistory.com)
람사르협약, 람사르습지 등록 기준, 몽트뢰 목록
람사르협약과 람사르습지 등록 기준, 몽트뢰 목록에 대해 정리하였습니다. [자연환경관리기술사 109회 몽트뢰 목록(Montreux record) 답안지가 본문 하단에 있습니다. [환경영향평가사 17회] 람사르협
captain-planet.tistory.com
IUCN(세계자연보호연맹), Red list(적색목록), Green list(녹색목록) (tistory.com)
IUCN(세계자연보호연맹), Red list(적색목록), Green list(녹색목록)
IUCN Red list, Green list 관련 기출문제 답안지가 본문 하단에 있습니다. [자연환경관리기술사 89회] 국제자연보호연맹(IUCN)에서 규정하고 있는 멸종위기에 처한 야생동식물의 분류등급을 제시하고
captain-planet.tistory.com
'국제 동향, 환경문제, 환경정책'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식물재배정화법(Phytoremediation), 환경정화수종, 자연저감법 (1) | 2024.04.30 |
---|---|
생물학적 복원처리기법(Bioremediation), 미생물촉진법(Biostimulation), 미생물첨가법(Bioaugmentation) (0) | 2024.04.29 |
생물다양성 관련 국제협약의 종류 및 동 협약의 목적 (2) | 2024.04.15 |
세계유산, 세계자연유산 지정사례 (0) | 2024.04.14 |
UNESCO MAB, 생물권보전지역, 3대 기능, 3가지 구획, 허용행위, 지정 현황 (0) | 2024.04.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