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식물재배정화법(Phytoremediation), 환경정화수종, 자연저감법에 대해 정리하였습니다.
[자연환경관리기술사 83회] 식물정화(Phyto-Remediation)의 정의
[자연환경관리기술사 110회] 식생과 식물을 이용한 오염된 토양의 복원방안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조경기술사 85회] 식물을 이용하여 중금속으로 오염된 토양을 정화하는 식물재배정화법(Phytoremediation)에 대하여 설명하고, 적용 시 고려사항을 설명하시오.
[조경기술사 100회] 환경정화수종
[조경기술사 105회] 중금속으로 오염된 토양을 정화하기 위한 식물재배 정화법(Phytoremediation)
Ⅰ. 식물재배정화법(Phytoremediation)
1. 개념
1) 식물 재배/이용하여 오염물질 흡수, 분해 처리 기법
2) 저농도 오염물질, 광범위 오염지역에 효과적
3) 경제적․친환경적이나, 처리기간 길고 환경변화 민감
2. 유형
1) 토양오염 정화
식물 추출 (Phytoexraction) |
- 오염물질 식물체 내 흡수·농축 후 식물체 제거 - 해바라기, 쑥 |
식물 분해 (Phytodegradation) |
- 식물체 내 대사과정 통해 오염물질 분해 |
식물 휘발화 (Phytovolatilization) |
- 식물체 내 대사과정 통해 안정화 후 대기 방출 |
식물 안정화 (Phytostabilization) |
- 비활성 상태 축적, 불용성 - 오염물질 뿌리 흡착되어 이동차단 |
2) 하천/지하수 오염 정화
- 근권여과(Rhizofiltration)
- 수리적 조절(Hydraulic control): 물 제거
- 인공습지, 식생수로
3. 장점과 단점
장점 | 단점 |
- 경제적, 친환경적 - 경관 향상 - 토양 안정화 - 오염물질 이동 최소화 - 유해물질과 가스배출량 소량 - in-situ 복원 |
- 장시간 소요 - 뿌리가 닿는 지점까지만 효과 - 생물농축으로 인한 부작용 - 오염물질로 인한 생장 속도 저하 - 분해생성물의 독성 여부 불명확 - 고농도 유기물은 독성으로 처리에 한계 |
Ⅱ. 환경정화수종
구분 | 오염물질 | 환경정화수종 |
수질오염 | N, P | 버드나무, 능수버들, 수양버들, 갯버들, 왕버들 |
토양오염 | 중금속 | 포플러류, 현사시나무, 양황철나무, 회양목, 코스모스, 해바라기, 쑥 |
유류오염 | 포플러류, 벼과, 옥수수 | |
대기오염 | 이산화탄소 | 튤립나무, 양버즘나무, 메타세콰이아, 은행나무, 느티나무, 회화나무, 벚나무 |
미세먼지 | 소나무, 곰솔, 전나무, 주목, 느티나무, 자귀나무, 국수나무, 철쭉 |
Ⅲ. 자연저감법
1. 자연저감법이란 자연적으로 희석, 휘발, 생분해, 흡착, 화학 반응하여 오염 저감 유도
2. 자정작용
728x90
'국제 동향, 환경문제, 환경정책' 카테고리의 다른 글
10-20-30 원칙, 3-30-300 규칙 (0) | 2024.05.21 |
---|---|
CITES(멸종위기 야생동식물종의 국제거래에 관한 협약) (0) | 2024.05.01 |
생물학적 복원처리기법(Bioremediation), 미생물촉진법(Biostimulation), 미생물첨가법(Bioaugmentation) (0) | 2024.04.29 |
동아시아-오세아니아 철새이동경로(EAAF), EAAFP (1) | 2024.04.26 |
생물다양성 관련 국제협약의 종류 및 동 협약의 목적 (2) | 2024.04.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