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국가가 지정·관리하는 생물에는 국가보호종, 환경부 지정관리종, 기후변화 생물지표종, 한국의 고유종 등이 있습니다.
1. 국가보호종
: "국가보호종"이란 우리나라에 살고 있는 생물들을 보존 및 보호하기 위하여
환경부, 해양수산부, 문화재청, 산림청 등이 관련 법률에 따라 지정·보호하는 생물종
국가보호종 | 부처 | 관련 법률 |
1. 멸종위기 야생생물 | 환경부 | 야생생물법 |
2. 천연기념물 | 국가유산청 | 자연유산법 |
3. 해양보호생물 | 해양수산부 | 해양생태계법 |
4. 희귀식물 5. 특산식물 |
산림청 | 수목원정원법 |
2. 환경부 지정관리종
허가·승인대상 종 | 국외반출 승인대상 생물자원 |
수출·수입등 허가대상 야생생물 | |
인공증식재배를 위한 포획·채취 등 허가대상 야생생물 | |
수렵동물 | |
금지하는 종 | 먹는 것이 금지되는 야생동물 |
포획·채취등이 금지되는 야생생물 | |
보호·관리 종 | 멸종위기 야생생물 |
IUCN Red list(적색목록) | |
CITES종(국제적 멸종위기종) | |
유해·교란하는 종 | 유입주의 생물 |
생태계교란 생물 | |
생태계위해우려 생물 | |
유해야생동물 | |
야생화된 동물 |
3. 기후변화 생물지표종
: 기후변화로 인해 생물이 계절에 따라 활동, 분포역, 개체군 크기 변화 등이
뚜렷하거나 뚜렷할 것으로 예상되어 이를 지표화하여 조사·관리 필요종
* K-BON(한국 생물다양성 관측 네트워크)
1) K-BON은 지구관측그룹(GEO) 산하 생물다양성 관측 네트워크(GEOBON) 내 국가단위 시스템
2) 환경부 국립생물자원관은 한반도 생물다양성의 변화를 관측하고 보전하기 위해 K-BON 발족, 운영
3) 전국의 시민과학자 참여하여 기후변화 생물지표종 100종 등 우리나라 생물다양성 모니터링
4) 국내 최대의 시민과학 네트워크로
생물다양성 보전 및 관리의 주류화 실현, 기후변화 적응을 위한
국민 인식 제고에 기여
5) 생물다양성 모니터링 결과 활용
시민참여 현장 모니터링 → 생물데이터 실시간 수집 공유 → 데이터 검증 및 관리 → 연구·정책 자료 활용
4. 한국의 고유종
1) 대한민국 영내에서만 자연적으로 서식하는 모든 생물종
2) 고유종이란 지리적으로 한정된 지역에만 분포하여 서식하는 생물 분류군 통칭,
분류학적으로 종 혹은 종 이하의 분류군 총망라
3) 고유종은 국가 고유의 생물 주권 확립의 핵심 요소로서 우선적 보호 및 관리 대상

개념, 종명 등 자세한 내용은 "국립생물자원관 한반도의 생물다양성"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국립생물자원관 한반도의 생물다양성 (nibr.go.kr)
국립생물자원관 한반도의 생물다양성
우리나라에 살고 있는 생물들을 보존 및 보호하기 위하여 환경부, 해양수산부, 문화재청, 산림청 등이 관련 법률에 따라 지정·보호하는 생물들을 의미한다.
species.nibr.go.kr
국가보호종 소개 | 국가보호종 | 멸종위기 야생생물 | 국립생태원 (nie.re.kr)
국립생태원
환경부 산하, 생태조사·연구, 멸종위기종 복원, 전시·교육기관
www.nie.re.kr
728x90
'환경 관련 법규 및 제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외래생물, 유입주의 생물, 생태계교란 생물, 생태계위해우려 생물, 유해야생동물 (0) | 2024.05.06 |
---|---|
법정보호종 (0) | 2024.05.05 |
멸종위기 야생생물 - 2 (0) | 2024.05.03 |
멸종위기 야생생물 - 1 (0) | 2024.05.02 |
자연유산의 보존 및 활용에 관한 법률 [시행 2024. 5. 17.] (0) | 2024.04.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