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환경 관련 법규 및 제도

외래생물, 유입주의 생물, 생태계교란 생물, 생태계위해우려 생물, 유해야생동물

by 캡틴 케이 2024. 5. 6.
728x90
외래생물, 유입주의 생물, 생태계교란 생물, 생태계위해우려 생물, 유해야생동물의 법적 정의 및 지정 현황에 대해 정리하였습니다.

"유입주의 생물, 생태계교란 생물, 생태계위해우려 생물" 비교 답안지가 본문 하단에 있습니다.

 

썸네일

[자연환경관리기술사 76회] 생태계 교란 야생동식물을 정의하고 이에 해당하는 종명을 4개이상 기술
[자연환경관리기술사 89회] 야생동식물보호법에서 생태계교란 야생동식물의 정의와 종류
[자연환경관리기술사 109회] 생태계교란생물과 유해야생동물
[자연환경관리기술사 119회] 생태계교란생물 정의와 2019년 추가지정된 2종 설명
[자연환경관리기술사 121회] 생태계교란생물 지정고시(환경부, 2020)에서 추가된 생물종과 지정사유 및 관리방안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자연환경관리기술사 122회] 『생물다양성 보전 및 이용에 관한 법률』에 따른 ‘유입주의 생물’ 제도의 도입목적과 지정 및 관리 절차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자연환경관리기술사 128회] 생태계교란생물 정의와 지정현황
[자연환경관리기술사 130회] 환경부 지정 생태계교란생물 15종 이상

[환경영향평가사 12회 생태계교란생물의 정의 및 지정관리

 

1. 외래생물, 유입주의 생물, 생태계교란 생물, 생태계위해우려 생물

「생물다양성법」 제2조(정의)
외래생물 외국으로부터 인위적 또는 자연적으로 유입되어 그 본래의 원산지 또는 서식지를 벗어나 존재하게 된 생물
유입주의 생물 국내에 유입 될 경우 생태계에 위해를 미칠 우려가 있는 생물
생태계교란 생물 위해성평가 결과 생태계 등에 미치는 위해가 큰 것으로 판단되는 생물
- 유입주의 생물 및 외래생물 중 생태계의 균현을 교란하거나 교란할 우려가 있는 생물
- 유입주의 생물이나 외래생물에 해당하지 아니하는 생물 중 특정 지역에서 생태계의 균형을 교란하거나 교란할 우려가 있는 생물
생태계위해우려 생물 위해성평가 결과 생태계 등에 유출될 경우 위해를 미칠 우려가 있어 관리가 필요하다고 판단되는 생물
- 멸종위기 야생생물 등 특정 생물의 생존이나 생태·경관보전지역 등 특정 지역의 생태계에 부정적 영향을 주거나 줄 우려가 있는 생물
- 산업용으로 사용 중인 생물로서 다른 생물 등으로 대체가 곤란한 생물

 

2. 지정 현황(유입주의 생물, 생태계교란 생물, 생태계위해우려 생물)

[별표] 유입주의 생물(유입주의 생물 지정 고시).pdf
0.22MB
[별표] 생태계교란 생물(생태계교란 생물 지정 고시).pdf
0.06MB
[별표] 생태계위해우려 생물(생태계위해우려 생물 지정 고시).hwp
0.02MB

 

 

 

3. 위해성평가

「생물다양성법 시행규칙」 제8조(위해성평가의 기준 및 절차 등)

     

     1) 위해성평가 계획 내용

          - 위해성평가의 대상 및 범위

          - 정기평가와 수시평가 등 위해성평가의 종류와 시기

          - 위해성평가의 방법

     2) 위해성평가의 기준

          - 평가 대상 생물종의 생물학적ㆍ생태학적 특징

          - 평가 대상 생물종의 환경방출, 정착, 확산 양상

          - 평가 대상 생물종이 생태계에 미치는 영향

          - 평가 대상 생물종의 사후관리방안의 적용 양상

          - 그 밖에 위해성평가를 위하여 국립생태원장이 정하는 기준

 

4. 생태계교란 생물 지정 절차

1) 외래종 정밀조사 국립생태원 외래종 특성 및 생태계 영향 등에 관한 정밀조사
2) 생태계 위해성평가 국립생태원 - 기본정보
- 유입/정착/확산 가능성
- 생태계 및 사회·경제·질병에 대한 영향
- 경제적 가치 평가
3) 지정 건의 국립생태원 위해성평가 결과 환경부에 보고, 
위해성 높은 종의 생태계교란 생물 지정 건의
4) 고시 반영 환경부 타당성 검토 후 법정 생물 지정, 법적 효력 발생
5) 생태계교란 생물 모니터링 국립생태원 생태계교란 생물 실태조사, 관리방안 제시

 

5. 생태계교란 생물 관리방안

한국 외래생물 정보시스템 (nie.re.kr)

 

한국 외래생물 정보시스템

등록일 : 2022-12-28 조회수 : 1274

kias.nie.re.kr

 

6. 유해야생동물

「야생생물법」 제2조(정의)

    

"유해야생동물"이란 사람의 생명이나 재산에 피해를 주는 야생동물

장기간 무리 지어 농작물/과수 피해 참새, 까치, 어치, 직박구리, 까마귀, 갈까마귀, 떼까마귀, 큰부리까마귀
일부 지역 고밀도 서식 농·림·수산업 피해 꿩, 멧비 둘기, 고라니, 멧돼지, 청설모, 두더지, 쥐류 및 오리류(오리류 중 원앙이, 원 앙사촌, 황오리, 알락쇠오리, 호사비오리, 뿔쇠오리, 붉은가슴흰죽지 제외)
비행장 주변 출현,
항공기/특수건조물 피해,
군 작전 지장
조수류(멸종위기 야생동물 제외)
인가 주변 출현하여
인명·가축 위해, 위해 발생 우려
멧돼지, 맹수류(멸종위기 야생동물 제외)
분묘 훼손 멧돼지
전주 등 전력시설 피해 까치, 까마귀, 갈까마귀, 떼까마귀, 큰부리까마귀
일부 지역 고밀도 서식
분변 및 털 날림 등
문화재 훼손, 건물 부식 등
재산상 피해, 생활 피해
집비둘기
일부 지역 고밀도 서식
양식업, 낚시터업, 내수면어업 등
사업/영업에 피해
민물가마우지

 

 

[별표 3] 유해야생동물(제4조 관련)(야생생물 보호 및 관리에 관한 법률 시행규칙).pdf
0.06MB

 

 

 

답안지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