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환경 관련 법규 및 제도

지역생물다양성전략(LBSAP, Local Biodiversity Strategy and Acion Plan)

by 캡틴 케이 2024. 7. 9.
728x90
지역생물다양성전략(LBSAP, Local Biodiversity Strategy and Acion Plan)에 대해 정리하였습니다.

썸네일

 

참고 자료: 국가생물다양성 정보공유체계 > 국가생물다양성전략 > 지역 생물다양성전략 (kbr.go.kr)
 

국가생물다양성 정보공유체계 > 국가생물다양성전략 > 지역 생물다양성전략

국가생물다양성전략

kbr.go.kr

 

Ⅰ. 지역생물다양성전략(지역생물다양성전략 및 행동계획)

 

1. 정의

: 지역생물다양성전략 및 행동계획(Subnational and Local Biodiversity Strategies and Action Plans, SBSAP/LBSAP)이란 지방정부가 생물다양성과 생태계서비스를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행동 방침과 정책적 전략들로 구성된 계획이다.

 

2. 역할

: 국가 단위의 전략인 국가생물다양성전략(National Biodiversity Strategy and Action Plan, NBSAP)과 비교했을 때보다 구체적이고 지역 내 이해당사자들의 목소리를 반영하여 현실적인 정책과 사업들을 구성할 수 있다는 특징이 있으며, 국가 및 국제 생물다양성 정책 목표들을 지역의 특성에 맞게 반영하여 NBSAP와 유엔생물다양성협약(UN Convention on Biological Diversity, CBD)의 목표에 지역이 직접 기여하게 한다.

 

3. 현황

     1) 17개 광역지자체 중 13개 지자체가 지역생물다양성전략 수립·이행 중

     2) 지역생물다양성전략 수립·지원(인력·예산 등) 근거 부재로 이행 미비 및 국가전략 연계 미흡,

         전 국토의 생물다양성 보전체계 구축에 한계

Ⅱ. 제5차 국가생물다양성전략 세부실천목표

      [21-2] 지차체 전략 수립·이행 확대

 

관련 자료: https://captain-planet.tistory.com/85

 

제5차 국가생물다양성전략(2024~2028년)

제5차 국가생물다양성전략(2024~2028년)의 개요, 2050 비전, 2050 목표, 2030 실천목표에 대해 정리하였습니다.[자연환경관리기술사 103회] 제3차 국가생물다양성 전략의 주요내용을 설명하시오.[자연환

captain-planet.tistory.com

1. 지역생물다양성전략 수립 기반 마련

     1) 광역지자체의 지역생물다양성전략 수립 의무화 및 이행현황 점검 근거 마련

         ('24, 생물다양성법 개정)

     2) 지역생물다양성전략 수립 지침 마련('24)

         - 목표 설정, 평가지표 및 이행관리를 위한 표준화된 방안 제시로 지역 특성을 반영한 전략을

           수립하되, 국가전략과의 정합성 제고

     3) 국가생물다양성센터를 통해 지자체의 전략 수립 지원

         - 전문가와 지자체 담당자로 구성된 협의체를 운영('24~, 2회/년)하여 전략 수립 관련

           지식·정보 공유 및 컨설팅 등 자문

         - 지역생물다양성전략 공통지표 선정·평가 워크숍 개최('24~, 1회/년)

2. 지역생물다양성전략 이행·점검 추진

     1) 지자체 지역생물다양성전략의 이행점검

         - 지역생물다양성전략 공통 지표에 대한 이행 모니터링('25~)

         - 지역생물다양성전략 이행점검 결과 등록 및 공개

           ('25~, 국가생물다양성 정보공유체계 활용 검토)

     2) 지자체별 협력 네트워크 구성·운영('24~, 2회/년)으로

         전략 이행 참여 주체 간 협력 증진 및 이행력 강화

         - 지자체, 지역 연구원, 지역 민간단체 등이 참여하는 포럼을 운영하여 이행상황 공유 및

           이해관계자 참여 확대 논의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