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101

수목의 기온저감 효과, 주요 수종별 탄소흡수량 비교 수목의 잎은 태양 직사광선을 막는 그늘효과와 지면의 반사열을 줄이는 복사열 저감효과 및 증산작용을 통한 온도저감 효과로 도시숲 주변의 기온을 낮춰주는 효과가 있음주요 산림수종의 표준 탄소흡수량은 우리나라 소나무, 참나무류 등 주요 8개 수종에 대한 생장정보와 국제 기준의 방법론(IPCC)에 근거하여 도출된 자료를 참고하여 수종별 표준 탄소흡수량을 도출참고 자료: 기후대응 도시숲 등 조성·관리 현장 실무가이드, 2024. 6, 산림청 1. 수목의 기온저감 역할     1) 도시숲 및 수목은 잎의 증산작용으로 열기를 식히고,     2) 태양 직사광선을 막는 그늘효과와,     3) 지면의 반사열을 줄이는 복사열 저감효과로 인해 기온을 낮춤. * 순복사열 저감   · 반사도 효과: 복사열을 반사시키는 비율 .. 2024. 7. 18.
미세먼지 저감 우수 수종, 미세먼지 저감 원리/메커니즘 미세먼지 저감 우수 수종, 산림의 미세먼지 저감 원리/메커니즘에 대해 정리하였습니다. [자연환경관리기술사 119회] 수목의 미세먼지 저감 원리[자연환경관리기술사 121회] 미세먼지의 특성과 자연기반 저감방안을 설명하시오.[자연환경관리기술사 134회] 도시숲 조성과 관련하여 다음을 설명하시오.                                              1) 식물생리학적 측면에서 미세먼지 및 도시열섬 감소 효과                                              2) 바람길 숲 조성을 위한 과정[조경기술사 121회] 도심지 산림의 미세먼지 저감숲의 기본 개념 및 종류와 산림의 미세먼지 저감 메커니즘에 대하여 설명하시오.[조경기술사 129회] 미세먼지 저감을 .. 2024. 7. 14.
도시바람길숲의 구성요소와 조성 방식 도시바람길숲의 구성요소와 조성 방식에 대해 정리하였습니다. [자연환경관리기술사 88회] 정주공간에서 바람길의 가치를 논하고 바람길을 확보하는 주요기법을 설명하시오.[자연환경관리기술사 134회] 도시숲 조성과 관련하여 다음을 설명하시오.                                               1) 식물생리학적 측면에서 미세먼지 및 도시열섬 감소 효과                                               2) 바람길 숲 조성을 위한 과정참고 자료: 기후대응 도시숲 등 조성·관리 현장 실무가이드, 2024. 6, 산림청                  도시숲등 사업 현장 실무가이드[미세먼지 차단숲등], 2020. 8, 산림청 1. 도시바람길숲 구성요소1) .. 2024. 7. 13.
도시숲등의 유형별 정의/개념, 기능, 도시숲 조성사업의 종류 도시숲등의 유형별 정의/개념, 기능, 도시숲 조성사업의 종류 그리고도시숲 조성 사업별 사업목적 및 주요 고려사항, 식재수종 선정을 위한 고려사항, 수목 식재 밀도, 도입 가능 시설, 식재·식재기반 조성 및 시설물 설치 비율에 대해 정리하였습니다.[자연환경관리기술사 77회] 도시숲의 개념과 유형, 필요성에 대해 설명하고, 도시림을 효과적으로 복원 및 관리하기 위한 방안에 대하여 설명[자연환경관리기술사 116회] 도시숲의 개념, 기능과 가치, 유형, 국내 조성사례에 대하여 설명하시오.[자연환경관리기술사 134회] 도시숲 조성과 관련하여 다음을 설명하시오.                                               1) 식물생리학적 측면에서 미세먼지 및 도시열섬 감소 효과        .. 2024. 7. 12.
자연기반해법(NbS, Nature-based Solution)의 개념/정의, 원칙, NbS 국제 표준, IUCN에서 제시한 5가지 유형/접근방식 자연기반해법의 개념/정의, 원칙, NbS 국제 표준, IUCN에서 제시한 5가지 유형/접근방식, 환경위기별 자연기반해법을 통한 접근법에 대해 정리하였습니다.[자연환경관리기술사 127회] 자연기반해법(NbS: Nature-based Solution)[자연환경관리기술사 134회] 지속가능한발전을 위한 자연기반해법의 확대 전략에 대하여 설명하시오.[환경영향평가사 16회] 탄소중립, NBS(Nature Based Solution), ESG(Environmental, Social and Governance)[환경영향평가사 18회] 기후변화 완화, 생물다양성 보전을 위한 자연기반해법(NbS, Nature-based Solution)의 장·단점[환경영향평가사 19회] 기후변화 완화, 생물다양성 보전을 위한 자연기반해.. 2024. 7. 11.
관리효과성평가(MEE, Management Effectiveness Evaluation) 보호지역 관리효과성평가(MEE) 개념, 필요성, 원칙, 틀에 대해 정리하였습니다.[자연환경관리기술사 107회] 관리효과성평가(Management Effectiveness Evaluation)[환경영향평가사 12회] 세계자연보전연맹(IUCN)에서 제시한 보호지역에 대한 관리효과성평가(Management Effectiveness Evaluation)의 개념, 평가지표 및 기대효과참고 자료: 특별보호구역 관리효과성평가, 2018. 12, 국립공원공단 1. 보호지역 관리효과성평가 개념     1) 보호지역의 가치를 보호하고 목적과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보호지역 관리가 얼마나 효과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는지를 평가하는 체계     2) 보호지역 및 보호지역 체계에 대한 디자인 이슈,         관리.. 2024. 7. 10.
2030 국가보호지역 확대 로드맵 2030 국가보호지역 확대 로드맵 내용 중 추진 배경, 국내 보호지역 현황, 비전 및 목표, 국가 보전목표 및 성과지표에 대해 정리하였습니다. 참고 자료: 2030 국가보호지역 확대 로드맵, 2023. 12, 관계부처 합동  관련 자료: 쿤밍-몬트리올 GBF 주요내용 (tistory.com) 쿤밍-몬트리올 GBF 주요내용쿤밍-몬트리올 GBF 주요내용에 대해 정리하였습니다.참고 자료: 제5차 국가생물다양성전략(2024~2028년), 2023. 12, 관계부처 합동 쿤밍-몬트리올 GBF 주요내용비전(2050 Vision)자연과 조화로운 삶(Living icaptain-planet.tistory.com자연환경 관련 보호지역 종류, 국내 보호지역 현황, 지정요건/지정기준 (tistory.com) 자연환경 관련 .. 2024. 7. 10.
쿤밍-몬트리올 GBF 주요내용 쿤밍-몬트리올 GBF 주요내용에 대해 정리하였습니다.참고 자료: 제5차 국가생물다양성전략(2024~2028년), 2023. 12, 관계부처 합동 쿤밍-몬트리올 GBF 주요내용비전(2050 Vision)자연과 조화로운 삶(Living in harmony with nature)목표(2050 Goals)A. 생태계(면적, 연결성, 온전성) 증대, 멸종위기종 멸종 경감, 유전적 다양성 보호 및 유지B. 자연이 인간에게 주는 혜택 가치화, 보존·복구·지속가능한 이용 통한 증대 및 유지C. 유전자원으로부터 발생하는 금전적·비금전적 이익의 공정·공평한 공유D. 2050 비전 및 GBF 달성에 필요한 생물다양성 재정 및 이행수단 격차 축소실천목표(2030 Action Targets)생물다양성 위협요인 저감1) 지구 모.. 2024. 7. 9.
지역생물다양성전략(LBSAP, Local Biodiversity Strategy and Acion Plan) 지역생물다양성전략(LBSAP, Local Biodiversity Strategy and Acion Plan)에 대해 정리하였습니다. 참고 자료: 국가생물다양성 정보공유체계 > 국가생물다양성전략 > 지역 생물다양성전략 (kbr.go.kr) 국가생물다양성전략 > 지역 생물다양성전략" data-og-description="국가생물다양성전략" data-og-host="kbr.go.kr" data-og-source-url="https://kbr.go.kr/content/view.do?menuKey=797&contentKey=182" data-og-url="https://kbr.go.kr/content/view.do?contentKey=182&menuKey=797" data-og-image="https://scra.. 2024. 7. 9.
제5차 국가생물다양성전략(2024~2028년) 제5차 국가생물다양성전략(2024~2028년)의 개요, 2050 비전, 2050 목표, 2030 실천목표에 대해 정리하였습니다.[자연환경관리기술사 103회] 제3차 국가생물다양성 전략의 주요내용을 설명하시오.[자연환경관리기술사 106회] 제3차 국가생물다양성 전략 중 생태계서비스의 지속가능한 이용의 목표를 설명하시오.[환경영향평가사 12회] 제4차 국가생물다양성전략(2019~2023)의 개요, 비전, 목표 및 추진전략에 대하여 설명하시오.참고 자료: 제5차 국가생물다양성전략(2024~2028년), 2023. 12, 관계부처 합동  Ⅰ. 국가생물다양성전략 개요1. 수립 근거    : 「생물다양성법」 제7조     - 정부는 국가의 생물다양성 보전과 그 구성요소의 지속가능한 이용을 위한 전략을       수.. 2024. 7.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