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환경 관련 법규 및 제도26

지역생물다양성전략(LBSAP, Local Biodiversity Strategy and Acion Plan) 지역생물다양성전략(LBSAP, Local Biodiversity Strategy and Acion Plan)에 대해 정리하였습니다. 참고 자료: 국가생물다양성 정보공유체계 > 국가생물다양성전략 > 지역 생물다양성전략 (kbr.go.kr) 국가생물다양성전략 > 지역 생물다양성전략" data-og-description="국가생물다양성전략" data-og-host="kbr.go.kr" data-og-source-url="https://kbr.go.kr/content/view.do?menuKey=797&contentKey=182" data-og-url="https://kbr.go.kr/content/view.do?contentKey=182&menuKey=797" data-og-image="https://scra.. 2024. 7. 9.
제5차 국가생물다양성전략(2024~2028년) 제5차 국가생물다양성전략(2024~2028년)의 개요, 2050 비전, 2050 목표, 2030 실천목표에 대해 정리하였습니다.[자연환경관리기술사 103회] 제3차 국가생물다양성 전략의 주요내용을 설명하시오.[자연환경관리기술사 106회] 제3차 국가생물다양성 전략 중 생태계서비스의 지속가능한 이용의 목표를 설명하시오.[환경영향평가사 12회] 제4차 국가생물다양성전략(2019~2023)의 개요, 비전, 목표 및 추진전략에 대하여 설명하시오.참고 자료: 제5차 국가생물다양성전략(2024~2028년), 2023. 12, 관계부처 합동  Ⅰ. 국가생물다양성전략 개요1. 수립 근거    : 「생물다양성법」 제7조     - 정부는 국가의 생물다양성 보전과 그 구성요소의 지속가능한 이용을 위한 전략을       수.. 2024. 7. 8.
「물환경보전법」 비점오염저감시설 「물환경보전법」 상 비점오염저감시설의 정의, 유형, 설기기준, 관리·운영기준에 대해 정리하였습니다. [자연환경관리기술사 92회] 자연환경보전법에 규정된 자연형 비점오염 저감시설의 유형과 관리, 운영기준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자연환경관리기술사 112회] 비점오염저감시설 중 식생형 시설(식생여과대, 식생수로)에 대하여 설명하시오.[자연환경관리기술사 112회] 비점오염저감시설의 모니터링 목적 Ⅰ. 비점오염저감시설이란?「물환경보전법」 제2조(정의)13. "비점오염저감시설"이란 수질오염방지시설 중 비점오염원으로부터 배출되는 수질오염물질을 제거하거나 감소하게 하는 시설로서 환경부령으로 정하는 것을 말한다. Ⅱ. 비점오염저감시설의 유형「물환경보전법 시행규칙」 제8조(비점오염저감시설)법 제2조제13호에 따른 비점오염.. 2024. 6. 25.
「자연환경보전법」상 생태통로 「자연환경보전법」상 생태통로의 정의, 설치대상지역, 설치기준에 대해 정리하였습니다.[자연환경관리기술사 101회] 자연환경보전법에서 제시하고 있는 생태통로의 설치대상지역 1. 생태통로란?「자연환경보전법」 제2조(정의)9. "생태통로"란 도로·댐·수중보·하굿둑 등으로 인하여 야생동·식물의 서식지가 단절되거나 훼손 도는 파괴되는 것을 방지하고 야생동·식물의 이동 등 생태계의 연속성 유지를 위하여 설치하는 인공 구조물·식생 등의 생태적 공간을 말한다. 2. 생태통로의 설치대상지역「자연환경보전법 시행규칙」 제28조(생태통로의 설치대상지역 및 설치기준)1. 백두대간보호지역2. 비무장지대3. 생태·경관보전지역 중 핵심구역 또는 완충구역, 시·도생태·경관보전지역4. 생태자연도 1등급 권역5. 자연공원6. 야생생물 특별.. 2024. 6. 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