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참조생태계/표준생태계(reference ecosystem)의 정보(구조와 기능, 지역의 환경, 생태, 문화적 특성 등)를 생태적 참조(ecological references)하여 생태복원의 목적, 계획 수립 시 적용
참조생태계/표준생태계(reference ecosystem) = 생태적 참조(ecological references)

[자연환경관리기술사 95회] 생태복원을 위한 참조 생태계(reference ecosystem)의 중요성과 활용방법
[자연환경관리기술사 107회] 참조생태계(reference ecosystem)의 4가지 유형
[자연환경관리기술사 109회] 표준생태계(reference ecosystem)의 개념과 속성
[자연환경관리기술사 133회] 생태적 참조(ecological references)
[조경기술사 114회] 표준생태계(참조생태계, Reference Ecosystem)
[조경기술사 133회] 참조생태계(reference ecosystem)의 개념
참고 자료: 생태복원 계획·설계론, 조동길
1. 참조생태계(reference ecosystem) 개념
1) 현재 훼손되지 않은 실질적인 생태계(actual ecosystem) 또는 개념적인 모델
2) 현존하는 참조지역(reference sites)의 생태계 기능, 종조성 참조하여
새로운 서식처 조성
3) 복원하고자 하는 생태계의 모습, 대조생태계, 서식처 원형(prototype)
2. 중요성, 활용방법
1) 생태복원 목적, 계획 수립
- 목표 서식처 설정
2) 복원 사업 이후 성패 평가
- 대조생태계로 기여
3. 속성
1) 역동적, 전형적
2) 의도된 생태적 궤도(ecological trajectory)
생태적 궤도(ecological trajectory)
1. 개념
1) 시간의 흐름에 따른 개별적인 생태계의 생물적 표현의 연속성
2) 시간이 흘러가면서 나타나는 생태계의 발전 경로
2. 특징
1) 일정 방향으로 진행
2) 훼손되지 이전의 생태계에 대한 정보(구조와 기능, 지역의 환경, 생태, 문화적 특성)
종합하여 판단
3. 생태복원에서 적용
1) 생태복원의 큰 방향 제시 수준 활용
2) 생태계의 역동성이나 환경 변화 고려하는 것이 바람직
* Clewell과 Aronson(2013)은 생태적 궤도를 생태복원 사업의 성공 여부를 평가하기 위한 기준으로 사용하지 않기를 권고했다. 지나치게 많은 환경적, 생물학적, 생태학적 변수들이 존재하기 때문에 생태적 궤도는 엄격하게 예측할 수 있는 가치를 지닐 수 없기 때문이라고 했다. 이러한 점은 참조 생태계에서도 적용되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생태복원의 성공 여부를 판단하는데, 생태적 궤도나 참조 생태계는 어디까지나 참고를 위한 수준으로만 활용하는 것이 좋다는 것으로 이해하면 좋겠다.
4. 4가지 유형
1) 동일 장소 - 동일 시간
- 자기-참조생태계(auto-reference)
- 그 자체가 참조생태계
2) 다른 장소 - 동일 시간
- 서식처 원형(prototype)
- 참조할 수 있는 곳
3) 동일 장소 - 다른 시간
- 역사적 기록
- 과거사진, 조사 기록
4) 다른 장소 - 다른 시간
- 기존 생태계 정보 없는 경우
- 경관적, 물리적 유사 지역

728x90
'생태복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자연환경복원사업 목표유형 (0) | 2024.07.06 |
---|---|
자연환경보전의 기본원칙, 자연환경복원의 기본원칙 (0) | 2024.07.05 |
도시생태축 복원사업 추진절차 (0) | 2024.05.25 |
도시생태축 복원사업 (1) | 2024.05.24 |
자연환경복원사업 개념/정의, 대상, 후보목록 작성 (1) | 2024.05.22 |